[단독]국정자원, 재해복구시스템 3.8% 불과…'실시간 백업'도 없었다

1 month ago 11

단독국정자원, 재해복구시스템 3.8% 불과…'실시간 백업'도 없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흔적. 27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5층 전산실 창문이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 화재로 불에 타 있다. [사진=연합뉴스]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흔적. 27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5층 전산실 창문이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 화재로 불에 타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시스템 가운데 100% 재해복구(DR) 체계가 갖춰진 것은 단 3.8%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신속한 복구가 어려운 이유로 핵심 이유로 지목된다.

데이터 백업 역시 평균 한 달 간격으로 이뤄지고 있어 실시간 백업도 이뤄지지 않았다. 이로 인해 기관마다 시스템 재가동 과정에서 데이터 손실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29일 정치권·업계에 따르면, 지난 26일 화재가 발생한 국정자원 대전 본원 총 647개 시스템 가운데 시스템 백업(재해복구·DR) 체계를 갖춘 것 25개에 불과하다. 전체 시스템 가운데 3.8% 수준이다.

국정자원은 정부24 등 주요 서비스 25개만 시스템 백업 체제를 국정자원 광주센터에 구축했다. 이들 25개 시스템은 서버, 스토리지 등 물리 환경까지 백업 체계를 갖춰, 장애 발생 시 빠른 시간 내 동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 시스템은 대부분 데이터 백업 정도에만 그쳤다.

정부는 3년 전 카카오톡 장애 사건 당시 정부 센터는 대전-광주 간 백업 체계를 통해 '장애 발생 시 3시간 내' 복구가 가능하다 공언한 바 있다.

그런데 백업 체계가 구축된 시스템은 25개에 불과하고, 이 마저도 화재 발생 이틀(48시간)이 지난 28일 밤 늦게부터 순차 재개하고 있다. 사실상 백업 체계가 전혀 가동되지 않았다고 봐도 무방하다.

데이터 백업 역시 '실시간 백업' 이라는 기존 정부 주장과 달리 평균 '한 달' 간격으로 이뤄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 백업하는 게 아니라 일정 분량을 모았다가 한번에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는 28일 이재명 대통령이 주재한 화재 대책 회의에서 확인됐다.

이 회의에서 이 대통령은 “데이터 백업 주기가 어떻게 되냐”고 질문했고 정부에서 정확하게 답하지 못하자 관련 규정을 찾아오라 지시했다. 해당 문건 확인 결과 데이터 백업 주기는 '한 달' 이었다.

그동안 정부는 브리핑 등을 통해 데이터의 경우 시스템 중요도에 따라 '실시간' 또는 적어도 '일단위' 등으로 이뤄진다고 밝혀왔는데 정확한 규정이 뒤늦게 확인된 것이다.

국정자원은 그동안 핵심 시스템을 제외하곤 대부분 규정에 따라 한 달 간격으로 데이터를 백업했을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현재 멈춘 시스템을 재가동한다 하더라도 경우에 따라 한 달 내 축적된 데이터 손실은 피하기 어렵다.

이 대통령도 이 같은 백업 상황을 모두 전달받은 후 대대적 개선안을 주문했다. 시스템 중요도에 따라 백업 체계를 마련하는 한편, 민간 클라우드 도입 등 다양한 후속 대책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한편, 29일 오전 10시 기준으로 총 647개 시스템 가운데 '정부24', '우체국금융' 등 대국민 주요 서비스를 포함한 55개 시스템이 재가동됐다. 정부는 화재로 손실된 90여개 시스템은 국정자원 대구센터 내 민관협력형(PPP) 클라우드 존으로 이전해 재가동에 주력할 방침이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