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적 불안은 단순히 남들에게 호감을 얻으려는 욕구에서 비롯되지 않음
- 이러한 불안은 오히려 타인에게 미움 받는 것을 피하려는 전략임
-
리스크 회피 성향의 결과로, 사회적 불안은 잠재적 불이익을 최소화하려는 행동 패턴임
- 자신이 남들에게 호감을 얻지 못하고 있다는 좌절감보다, 실제로는 충분히 합리적 목적을 위해 행동함
- 해결책은 더 호감을 얻으려 애쓰는 것이 아니라, 미움받을 가능성에 익숙해지는 것임
사회적 불안과 호감의 오해
- 사회적으로 불안한 사람들이 단순히 남들에게 호감을 얻고 싶어서 불안해한다고 흔히 생각함
- 그러나 실제로 사회적 불안은 다양한 행동 패턴으로 나타남
- 자세를 낮추거나 공간을 덜 차지함
- 행동력이 약해짐
- 타인에게 별다른 요구를 하지 않음
- 관계를 많이 유지하지 않고 외출이나 모험도 덜 감행함
- 만약 단순히 호감 획득이 목적이었다면, 이런 행동들은 역효과임
사회적 불안의 진짜 목표: 미움받기 회피
- 실제로 그들의 주된 목적은 남들에게 미움을 받지 않는 것임
- 눈에 띄지 않고 주목 받지 않음으로써, 실망이나 갈등, 혹은 창피와 위협을 줄이는 결과로 이어짐
- 남들로부터 사랑받는 것도 좋지만, 그보다는 미움이나 경멸의 대상이 되지 않는 것이 더 중요함
사회적 불안은 리스크 회피의 증상
성장과 인식의 전환
- 만약 자신이 호감 얻기를 주요 목표로 여긴다면, 늘 그림자 속에 숨어 실패감을 느끼기 쉬움
- 하지만 사회적 불안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감정과 행동들에는 고유한 논리가 있음
- 겉보기에 스스로를 해치는 것 같은 행동 뒤에도, 실제로는 특정 맥락에서 작동하는 합리적 동기가 숨어 있음
- 이 증상들은 사실 남들에게 호감 받으려는 시도의 실패가 아니라, 미움받지 않으려는 시도의 성공일 수 있음
- 자신이 진짜로 무엇을 위해 반응하는지 깨닫는다면, 불안을 유발하는 최악의 시나리오에 익숙해지는 작업이 진짜 성장의 시작임
결론 및 제안
- 해결책은 단순히 더 노력해서 호감을 얻으려고 하는 것이 아님
- 진정한 핵심은 타인에게 미움받을 수 있다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