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회사 정치에 스태프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서 영향 미치는 방법

1 month ago 12

  • 많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들이 회사 정치는 참가해도 소용없다는 비관론을 가짐
  • 정치적 게임의 고수들과 경쟁하려 애쓰지 말고, 대형 프로젝트의 성공에 기여함으로써 정치적 보상을 얻는 것이 실질적인 전략임
  • 본인의 아이디어를 회사 정치 캠페인에 활용시키거나, 조직 분위기에 따라 맞춤 아이디어를 적절한 시기에 제안하는 것이 중요함
  • 항상 여러 기술적 대안을 준비하고 있다면, 경영진의 방향성과 맞는 순간에 즉시 반영시킬 수 있음
  • 좋은 아이디어가 준비되어 있지 않으면, 나쁜 결정이 내려질 위험이 크며, 이는 고위 엔지니어에게도 책임이 있음

엔지니어와 회사 정치에 대한 현실

많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들은 회사 정치에 대해 숙명적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을 가짐
그들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정치에 참여하는 것이 무의미하다고 생각함

  • 기술적 결정이 종종 이기적인 동기로 내려지는 현상
  • 영향력 있는 이해관계자들이 비효율적이고 비체계적이라 근본적 요구 분석과 해결이 불가능해 보임
  • 정치적 게임이 비공개 정보를 바탕으로 작동하여, 엔지니어가 참여해도 제대로 논의에 끼지 못함
  • 매니저와 임원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정치에, 엔지니어는 기술에 집중하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엔지니어가 불리한 구조임

즉,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는 정치적 플레이어가 아닌 ‘도구’에 더 가까운 위치에 있음
하지만 교묘한 술수를 부리지 않고도 정치에 영향을 미칠 방법이 있음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영향력 행사 방법

정치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더라도, 가장 손쉬운 방법은 주목받는 프로젝트의 성공을 도모하는 것

  • 회사에서 대규모 투자가 이루어지는 신규 프로젝트(예: AI 관련 등)에 기술력으로 성공 기여를 하면, 해당 프로젝트를 이끄는 임원에게 정치적이면서도 실질적인 이득을 제공함
  • 엔지니어는 보너스나 승진, 미래 고부가가치 프로젝트 참여 기회 등 다양한 보상을 얻게 됨

조금 더 어렵지만 더 큰 주도권이 생기는 방법은 본인의 아이디어를 기존 정치 흐름에 연결하는 것

  • 즉각 자신의 정치적 영향력을 사용하는 대신, 임원이나 조직이 관심을 두는 시기와 목표에 맞추어 적절한 아이디어를 제시하면, 그들의 정치 자본으로 프로젝트 추진이 가능해짐
  • 예를 들어, ‘신뢰성 개선’이 조직 전체의 화두가 될 때 자신이 생각하던 리팩터링을 해당 캠페인에 맞춰 제안하여 정책적으로 효과를 볼 수 있음
  •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자신의 정치 자본 또한 증가함

조직 분위기와 타이밍의 중요성

조직의 주요 관심사는 주기적으로 변화

  • 신제품 출시 시기에는, 내부 시스템 개선이나 리팩터링이 우선순위에서 밀리게 됨
  • 반면, 대형 장애 발생 직후에는 신뢰성 개선 프로젝트가 우선 추진됨
    이처럼 적절한 타이밍에 맞춰, 다양한 기술적 대안을 미리 준비해 두는 것이 중요함
  • 준비된 아이디어 예시:
    • 결제 모듈을 캐시 대신 웹훅 기반 데이터로 마이그레이션
    • 수작업 파이프라인을 Vite로 교체
    • 레거시 Python 서비스 Golang으로 리라이트
    • 느린 CMS 프론트엔드 대신 빠른 정적 사이트로 문서화 리빌드

조직 리더십의 우선순위 변화에 따라 위와 같은 아이디어를 즉각적으로 ‘신뢰성’, ‘개발자 경험’, ‘퍼포먼스 개선’, ‘고객 경험’ 등과 연결해 제안할 수 있음
핵심은 상황에 맞는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아이디어를 항상 준비해 두는 것

정치적 공백이 나쁜 기술 결정으로 이어짐

대부분의 경우, 어떠한 기술적 개선 프로그램이든 어디선가는 추진됨

  • 하지만 엔지니어가 별도 제안을 하지 않으면, 아이디어의 질과 상관없이 임시방편이 급하게 채택되는 경우가 많음
  • 정치적 필요와 실행 아이디어의 부재가 맞물리는 순간이 최악의 결정이 내려질 때임
    이런 상황은 조직의 리더와 엔지니어 모두에게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로 이어짐

시니어 엔지니어 입장에서는, 적절한 아이디어를 타이밍 맞게 준비하지 못한 책임을 조직에서 조용히 추궁받게 됨
알맞은 아이디어를 준비할 책임이 senior engineer에게 있음

결론 및 시각

이 모든 전략은 두 가지 관점에서 해석 가능함

  • 냉소적 관점: 회사 내 권력 투쟁의 도구가 되는 셈
  • 낙관적 관점: 경영진이 회사의 큰 방향성을 정하고, 엔지니어가 그 흐름에 맞춰 자신의 기술적 계획을 적용하는 과정임

어느 쪽이든, 상황에 맞는 계획을 준비하고 제시하면 더 많은 기술적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음

부록 및 논평

이 글은 Hacker News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으며, 비슷한 맥락에서 여러 코멘트들이 이 접근법의 유용성을 강조함
예를 들어 ‘누군가 중요한 인물이 우선순위를 외칠 때까지 기다리며, 준비된 아이디어를 바로 제시하는 전략’이 실질적 성과로 이어진다는 의견이 있음
‘위기는 실제 변화를 만들어내며, 어떤 행동이 실행되는지는 결국 미리 준비된 아이디어가 무엇인지에 달려있음’이라는 Milton Friedman 인용문도 소개됨
궁극적으로, 엔지니어 역시 조직 내에서 전략적으로 행동함으로써 원하는 기술적 결과를 실현할 수 있음을 시사함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