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정부시스템 마비]정부, DR 구축에 '1조' 투입 검토…민간 클라우드 검토 급물살

1 month ago 11
이재명 대통령이 28일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상황실에서 열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관련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제공]이재명 대통령이 28일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상황실에서 열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관련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제공]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촉발된 국가 디지털 인프라 혁신 논의가 '1조원' 규모 재해복구(DR) 시스템 구축으로 가닥이 잡혔다. 향후 정부의 IT 인프라 전략에 대대적인 전환이 예상된다.

지난 28일 이재명 대통령은 중앙재난안전상황실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직접 주재하고 완벽한 DR 체계 구축을 위한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행정안전부 측에 필요한 예산 규모를 물었고, 행안부는 최소 1조원 이상 예산이 필요하다고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은 “지금이라도 이중 운영 체계를 제대로 갖추고 운용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보안 문제가 없다면 민간 협업까지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회의에 참석한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비서관 등 청와대 참모진 역시 민간 클라우드 활용의 장점을 강조했다. 대부분 정부 시스템이 거대한 단일 구조(모놀리틱)로 설계돼 일부 기능에 문제가 생기면 전체가 마비되는 구조적 한계가 이번 사태를 키웠다는 판단에서다.

민간 클라우드 기업들은 24시간 365일 무중단 서비스를 전제로 운영된다. 이들의 실시간 DR 능력은 자동화 기술에 기반한다. 핵심 기술은 '글로벌 서버 로드밸런싱(GSLB)'이다.

한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사(CSP) 관계자는 “GSLB는 세계 데이터센터들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하는 일종의 교통 관제탑”이라며 “만약 한 데이터센터에 화재와 같은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면, 이를 즉시 감지하고 모든 사용자 접속을 가장 가까운 정상 데이터센터로 자동 우회한다”고 말했다.

자동화된 대응은 재난 복구의 핵심 지표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 관계자는 “데이터센터 간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동기화되므로, 재난 직전까지 데이터 손실을 의미하는 복구시점목표(RPO)는 사실상 '제로(0)'에 가깝다”며 “또한 서비스가 완전히 정상화되는 데 걸리는 시간인 복구시간목표(RTO) 역시 수동 복구와 달리 수 분 단위로 단축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업계에서는 이러한 자동화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이 필수라고 입을 모은다.

다른 CSP 관계자는 “최첨단 고속도로(민간 클라우드)를 깔아도, 그 위를 달리는 차가 20년 된 구형 자동차(기존 정부 소프트웨어)라면 무의미하다”며 “소프트웨어를 클라우드 환경에 맞춘 최신 아키텍처로 현대화해야만 이런 자동화 기술을 100%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의 의지에 따라 DR 시스템 구축을 위한 예산 확보는 시간문제일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조만간 구체적인 DR 구현 방안과 민간 클라우드 활용을 전제로 한 예산안을 마련, 발표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이날 하정우 AI수석은 국가AI전략위원회와 함께 인프라 후속 대책 마련에 힘써보겠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향후 국가AI전략위원회를 중심으로 여러 대책도 나올 전망이다. 이 대통령 역시 국가AI전략위원회가 총괄 지휘해서 빠르게 대책을 보고해 달라 지시했다.

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