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행정안전부와 인공지능(AI)·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해 구축한 대전 유성온천역 내 재난안전시스템 실증현장을 점검했다.
양 부처는 22일 현장점검에 앞서 지역 현장으로 AI·메타버스 기반 재난안전시스템 적용·확산 방안을 논의하는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지방자치단체와 기업 등 개발현황과 실증사례를 공유했으며 현장 적용을 위한 의견을 나눴다.
재난안전시스템 실증은 'AI·메타버스 기반 재난안전관리체계 강화' 사업으로 2023년부터 지원됐다. 충북도, 충남도, 대전시, 세종시와 함께 지역·수요처별 특성에 맞춰 AI·메타버스 등을 적용한 재난대응체계를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하는 형태다.
행안부는 앞서 지난해 6월 재난안전정보 공동이용협의회를 통해 행안부·고용노동부·소방청 등이 보유한 62개의 공공데이터를 각 지자체에 제공, 과제별 공급기업의 시스템 개발을 지원했다. 올해는 개발한 시스템을 실증하고 고도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유성온천역 현장 점검에서는 센서와 CCTV로 화재 발생 여부와 군중 밀집 수준을 실시간 감지, AI 분석으로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시스템을 시연했다. 실제 화재나 군중 밀집 상황이 발생하면 시스템은 센서 등으로 위험 발생 위치와 규모를 판단,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의 대피 경로를 제시한다.
대전시와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은 연말까지 역사 내에 LED 유도등을 설치, 이용객에 대피 경로를 실시간 안내하는 시스템까지 완성할 계획이다.
황규철 과기정통부 소프트웨어정책관은 “이번 사업으로 AI와 가상융합기술을 현장에 적용, 재난 대응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가상융합기술 재난안전 분야를 포함한 다양한 현장에서 적용되도록 확산 기반을 지속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박종진 기자 trut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