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 대회의실에서 'AI 대전환 시대, 기술과 사람이 함께 그리는 미래'를 주제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도 'AI·디지털 사회전환 심포지엄'이 열리고 있다. 과기정통부 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1일 인공지능(AI) 전환에 따른 다양한 이슈와 현안을 논의하는 'AI·디지털 사회전환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AI 대전환 시대, 기술과 사람이 함께 그리는 미래'를 주제로 'AI 기본사회' '모두의 AI' 등 새정부 국정 철학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급격한 AI·디지털 사회 전환에 따른 다양한 이슈와 대응방안을 전문가·시민이 한데 모여 논의했다.
유재연 한양대 교수, 이재흥 시민기술네트워크 이사, 김정남 KAIST 교수, 김동환 포티투마루 대표, 차미영 막스플랑크연구소 교수 등 국가AI전략위원회 위원들이 발제와 토론 패널로 참여했다.
이재흥 이사는 기조강연을 통해 AI 시대 사회 의제로 시민 참여 기반 '공익데이터'를 제시했다. AI 기본사회와 모두의 AI 구현방안도 제시했다. 김동환 대표는 'AI 기본사회, 일자리의 진화와 새로운 도전'을 주제로 발제했다. AI가 다양한 산업 분야에 융합·활용되는 사례와 AI가 일자리에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김정남 교수는 '거짓말하는 AI, 이대로 괜찮을까'라는 주제로 AI 모델 불확실성과 데이터 편향으로 잘못된 정보가 사실처럼 생성되는 'AI 환각' 현상에 대해 짚었다. 시민·정책·개발자가 함께 균형 잡힌 대응 전략 설계 필요성을 강조했다. 차미영 교수는 정보 노출 편향성, 인식적 불공정 심화, 사실 조작 등 '생성 AI 시대의 알고리즘 공정성: 인식·조작·책임의 경계'를 주제로 발표했다.
심포지엄 마무리는 유재연 교수를 좌장으로 '기술과 사람이 함께하는 포용적 AI 사회' 주제의 패널토크였다. 발표자들과 최문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본부장이 패널로 참여했다.
엄열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관은 “AI 대전환 시대 기술 발전을 추구하면서 그 혜택을 다함께 누릴 수 있게 우리 모두 지혜를 모아야 한다”며 “새정부 AI·디지털 분야 국정철학인 'AI기본사회' '모두의 AI'를 실현해 나가는 과정에서 국민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여 정책에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박종진 기자 truth@etnews.com

1 month ago
12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