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CE와 CBP 요원들이 거리에서 얼굴 인식 기술을 사용해 시민권을 확인하는 장면이 소셜미디어 영상으로 공개됨
- 영상에는 시카고로 추정되는 지역에서 자전거를 타던 두 청년이 요원들에게 제지당하는 모습이 담김
- 신분증이 없다고 말한 청년에게 요원이 “얼굴 스캔 가능하냐”고 묻고, 휴대전화 카메라로 얼굴을 촬영해 신원 확인을 시도함
- 영상 속 요원은 촬영 후 휴대전화 화면을 확인하며 청년의 이름을 묻는 장면까지 등장
- 한 전문가는 이러한 행위를 “순수한 디스토피아적 침투(pure dystopian creep)” 라고 표현, 공공장소에서의 생체인식 사용에 대한 우려 제기
ICE·CBP의 거리 얼굴 인식 사례
- 소셜미디어에 게시된 영상에서 ICE(이민세관단속국) 과 CBP(세관국경보호국) 요원들이 현장에서 얼굴 인식 기술을 사용하는 모습이 확인됨
- 영상은 여러 SNS(Instagram, X 등)에 게시되었으며, 404 Media가 이를 취합해 보도
- 한 전문가는 이 장면을 “pure dystopian creep”이라 표현
시카고 거리에서의 구체적 장면
- 영상에는 야구모자와 선글라스를 착용한 국경순찰대 요원이 자전거를 타던 두 청년을 제지하는 모습이 담김
- 청년 중 한 명은 휴대전화로 상황을 촬영하며 자신이 “이곳에서 태어났다”고 말함
- 신분증이 없다는 답변에 요원은 다른 요원에게 “얼굴 스캔 가능하냐(can you do facial?)”고 요청
- 두 번째 요원이 청년에게 햇빛을 향해 얼굴을 돌리게 한 뒤, 휴대전화 카메라를 얼굴 앞에 들고 몇 초간 촬영
- 이후 요원이 화면을 확인하며 청년의 이름을 묻는 장면에서 영상이 종료됨
404 Media의 후속 취재 요청
- 기사 작성자는 ICE나 CBP에서 얼굴 인식 기술을 사용하는 추가 영상이나 내부 정보를 제보해 달라고 요청
- 특히 ‘Mobile Fortify’ 라는 관련 기술 또는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찾고 있음
- 보안 통신 앱 Signal 또는 이메일을 통한 제보 경로를 안내
기사 접근 제한 및 구독 안내
- 본문 후반부는 유료 회원 전용 콘텐츠로 제한되어 있으며, 구독 시 광고 없는 기사와 추가 팟캐스트 콘텐츠 이용 가능
- 무료 회원은 일부 게시물과 주간 뉴스레터를 받을 수 있음
관련 기사 및 맥락
- 404 Media는 ICE의 대학 건물 사용, 전력회사 데이터 접근, DHS의 SNS 계정 추적 시도 등 정부기관의 감시 활동을 지속적으로 보도 중
- 해당 매체는 기술·감시·정책 교차 영역의 탐사보도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독립 언론사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