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NX는 1980년대 초 캐나다에서 시작된 마이크로커널 기반 실시간 운영 체제임
- IBM PC 등 다양한 하드웨어 지원, 높은 이식성과 분산 메시지 전달, 뛰어난 신뢰성과 멀티태스킹 환경을 제공함
-
교육용 컴퓨터, 산업 인프라, 차량 시스템 등에서 채택되어 큰 영향력을 가짐
- POSIX 준수를 통해 유닉스와의 호환성을 강화하고, 경량 GUI(Photon) 와 다양한 네트워크 기능으로 발전함
-
자동차, 임베디드, 모바일 등 최신 시장 변화에도 대응하며 지속적으로 안정성과 성능, 보안성을 높여왔음
QNX 운영 체제의 시작
- 1979년 University of Waterloo의 Gordon Bell과 Dan Dodge는 Thoth라는 실시간 운영 체제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을 쌓음
- Thoth는 높은 이식성, 동기식 메시지 전달 특징, 하드웨어와 무관하게 작동
- Bell과 Dodge는 졸업 후 Quantum Software Systems(후일 QNX Software Systems)를 설립, 프로토타입 마이크로컴퓨터(6809 기반)에서 자체 OS 개발 착수
QUNIX — QNX의 전신
- 최초 버전인 QUNIX 0.1은 마이크로커널 기반, CP/M과 UNIX 요소의 혼합 형태, IBM PC용 최초 마이크로커널 실시간 OS로 개발됨
- 전통적인 유닉스와 달리 /cmds, /config, /sys 등 독자적 디렉터리 구조, ‘help’ 명령 등 고유한 명령 체계 도입
- 하드디스크 지원(QUNIX 0.4에서 5MB HDD), 플로피 기반 부팅 등 초창기 한계 존재
QNX로의 전환과 성장
- AT&T의 상표 문제로 1982년 QUNIX에서 QNX로 이름 변경, 1983년 QNX 1.0 공식 출시
- 커널 : 약 10,000 라인의 C 코드, 스케줄링, 메시지 패싱, 우선순위 처리 등 마이크로커널 특성
- 서비스(파일 시스템, 드라이버, 네트워크 등) 대부분이 메시지 기반 통신 구조
-
네트워크 투명 메시지 큐 지원, 최대 250 동시 태스크, 다 사용자 허용
- C 컴파일러, 에디터, 네트워킹 지원 포함해서 $650에 판매(1983년 기준)
- QNX 1.2(1984년): 패턴 매칭, 쉘 프로그래밍 강화, IBM AT 지원, 가격 인하 등
교육 분야로의 진출: Burroughs ICON
-
온타리오 주 교육부의 교육용 표준 컴퓨터 프로젝트에 채택되어 ICON 컴퓨터(80186, 512K RAM, QNX 탑재) 개발
-
네트워크 기반 파일 서버 부팅(ARCNET) , 개별 저장 장치 미포함, 사용자는 서버 기반 홈 디렉터리 사용
- 하이퍼텍스트 기반 ‘lessonware’ 시도 및 다양한 교육 소프트웨어, 네트워킹, 오디오 기능, 확장성 등 선진 시스템 구축 경험
산업 및 상용 시장의 확장
- 1980년대 중후반 IBM PS/2, LAN, GUI, DOS 에뮬레이션(QDOS, RUNDOS) 지원 등 시장 요구 반영
- 1987년 QNX 2: IBM AT 보호모드, BSD 네트워킹, 1TB 파일, 32 직렬포트, 단순 GUI(House) 등 업그레이드
- 사무실 확장, 신사옥 이전 등 조직 성장
POSIX 도입 및 Photon GUI
- 1991년 QNX 4.0: POSIX 준수, 커널의 소형화(7K, 605 LOC), IPC, 네트워킹, 퍼포먼스 향상
- 1994년 QNX Photon microGUI 출시: 마이크로커널 기반 경량 GUI, 네트워크 투명성, 다양한 기기 지원
- Photon은 자원 제약 환경부터 고기능 GUI까지 확장, X 윈도우 호환 API 겸비
- 전체 데모 환경(네트워킹, 웹 브라우저, 파일 관리 등)이 1.44MB 플로피 한 장에 구동될 정도로 경량화
임베디드 및 분산 시스템, Neutrino로의 진화
- QNX 4.25(1997)까지 다양한 개선, 대기업 및 산업 현장(발전소, 의료, 교통, 우주 등)에서 실시간 OS 선도
- 1996년 QNX Neutrino 1.0: SMP, 강화된 POSIX, 광범위 CPU 지원, GNU/GCC 도입, 프로세스/스레드 관리 강화
- 메모리 관리와 프로세스 격리 더 철저, NetBSD 네트워킹 코드 도입으로 범용성 향상
파트너십과 시장 진입
- 1998년 Amiga와 파트너십 추진(최종적으로 Amiga는 Linux 채택)
- 1999년 Neutrino 2.0/2.1: UPM(커널 수준의 보호 메커니즘), PowerPC/MIPS/ARM 등 멀티 아키텍처 지원, 개발 환경 다양화
- 1999년 Motorola와 협력,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진출(내비게이션, 오디오 등)
2000년대: 멀티미디어, 자동차, 모바일까지
- 2001년 QNX 6.0: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웹 패키지 매니저, 다양한 CPU/아키텍처 개발 환경 통합
- Eclipse 기반 Momentics Tool Suite(2002), 네트워크 클러스터링, IPv6 등 현대화
- 2004년 Harman International 인수 후 임베디드·자동차 시장 집중, QNX CAR 플랫폼 도입, 주요 차량 제조사에 채택
- 대량 상용화: 2010년까지 17백만대 차량, 200개 이상 모델에 탑재
BlackBerry 인수와 모바일/보안 진화
- 2010년 Research in Motion(BlackBerry)이 QNX 인수, BlackBerry PlayBook·BB10(=BBX) 운영 체제로 확장
- QNX Safety 커널(ISO/IEC 인증, 미션크리티컬 보안), 임베디드 인증시장 확대
- Photon's 개선, 네트워크, 멀티미디어, UI/UX 등 지속 진화
- BBX(2013): 제스처 중심 UI, 멀티태스킹, 다양한 앱 프레임워크, 고성능 하드웨어 탑재
-
앱 생태계 제한, 키보드 제거 등으로 경쟁 실패, 2022년까지 수명 연장
결론
-
QNX는 실시간성, 원자적 커널 설계, 네트워크 투명 멀티프로세싱, 확장성, 보안성에서 두각을 나타내었음
- 유닉스 호환성, 산업·자동차·임베디드 분야에서 독자적 영역 구축
- 오픈 소스와 대중적 모바일 환경 진입 경쟁에서는 실패했으나, 미션크리티컬 분야에선 산업 표준급 명성을 유지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