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픈AI는 컴퓨팅 자원 확보를 위해 투자금이 다시 파트너사로 흘러가는 순환적 자금 구조를 활용
-
Microsoft, Oracle, CoreWeave, SoftBank, Nvidia, AMD 등과의 대형 계약을 통해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추진
-
CoreWeave와 220억 달러 규모의 컴퓨팅 계약, SoftBank의 400억 달러 투자, Oracle의 3,000억 달러 데이터센터 건설 계획 등 초대형 거래 포함
-
Nvidia와 AMD의 투자 및 주식 교환 계약은 오픈AI의 자금 조달과 반도체 확보를 동시에 지원
- 이러한 구조는 AI 산업의 급성장과 잠재적 금융 버블 위험을 동시에 내포
오픈AI의 비전과 자금 조달 방식
- Sam Altman은 기술 혁신뿐 아니라 금융 모델의 혁신이 산업 발전을 이끈다고 언급
- 그는 “기술 혁신에만 집중하지만, 진정한 진보는 금융 모델을 혁신할 때 일어난다”고 발언
- 텍사스 애빌린(Abilene)에 건설 중인 데이터센터 현장에서 이 같은 견해를 밝힘
- 오픈AI는 컴퓨팅 파워 확보를 위한 비전통적 자금 조달 방식을 다수 활용
- 칩 제조사, 클라우드 기업 등과의 거래에서 투자금이 다시 서비스 대금으로 환류되는 구조 형성
Microsoft와의 순환적 투자 구조
- 2019년부터 2023년까지 Microsoft가 130억 달러 이상 투자
- 오픈AI는 이 자금 대부분을 다시 Microsoft에 지불, 클라우드 컴퓨팅 사용료로 환류
- 이후 Microsoft의 컴퓨팅 자원이 부족해지자, 오픈AI는 Oracle 및 CoreWeave 등 다른 클라우드 기업과 계약 체결
- 뉴욕타임스는 오픈AI와 Microsoft를 상대로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했으며, 두 회사는 이를 부인
CoreWeave 및 SoftBank와의 대형 거래
- 오픈AI는 CoreWeave와 220억 달러 규모의 컴퓨팅 계약 체결
- CoreWeave는 AI 데이터센터 전문 기업이며, 오픈AI는 3억5천만 달러 상당의 CoreWeave 주식을 받음
- Microsoft로부터 추가 투자를 받지 못하자, SoftBank가 400억 달러 투자 라운드 주도
- SoftBank는 텍사스와 오하이오에 데이터센터 건설을 위해 1,000억 달러 조성 중
Oracle, G42, Nvidia, AMD와의 협력
-
Oracle은 3,000억 달러를 투입해 텍사스, 뉴멕시코, 미시간, 위스콘신에 데이터센터 건설
- 오픈AI는 향후 수년간 이 시설 사용료로 비슷한 금액을 Oracle에 지불 예정
-
UAE의 G42는 200억 달러 규모의 데이터센터 단지를 에미리트 내에 건설 중
-
Nvidia는 향후 수년간 1,000억 달러 투자 계획, 오픈AI는 Nvidia 칩을 구매하거나 임대
- Nvidia의 투자는 오픈AI의 데이터센터 구축 자금으로 활용 가능
-
AMD와의 계약을 통해 오픈AI는 AMD 주식 1억6천만 주를 주당 1센트에 매입할 권리 확보
- 이는 AMD의 약 10% 지분에 해당하며, 오픈AI의 추가 자금원 역할 가능
수익 구조와 위험 요인
- 오픈AI는 ChatGPT, 프로그래밍 도구 등으로 매년 수십억 달러 매출을 올리지만 적자 지속
- 향후 데이터센터 확충으로 AI 기술 성능과 매출이 크게 향상되면 지속 가능한 사업 가능성
- 기술 발전이 정체될 경우, 오픈AI와 파트너사들이 막대한 손실을 입을 위험 존재
- 특히 CoreWeave와 같은 중소기업은 과도한 부채로 파산 위험
-
Nvidia와 AMD는 시장 성장 속도에 따라 투자 규모를 조정할 수 있는 옵션을 보유
- 그러나 다른 기업들은 막대한 부채를 떠안을 가능성 존재, 경제 전반에 파급 위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