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12일, Google의 한 가지 파라미터 변경이 AI 생태계 전체를 뒤흔들었습니다. Reddit의 ChatGPT 가시성이 하루아침에 97% 폭락했고, SEO 업계가 순위 문제로 난리일 때 진짜 위기는 AI 트래픽 붕괴였습니다. 핵심 포인트:
당장이야 조금 불편한 수준일지 모르겠는데 저러면 AI가 확대 재생산하는 컨텐츠도 전부 상위 10위권 내용들이니 결국 순위권 밖의 데이터는 접근성에서 빠르게 뒤로 밀려서 다양성이 훼손되고 조금 과장되게 표현하면 AI 컨텐츠의 “근친상간“이 되어 일종의 데이터 유전병이 생기지 않을까요. 너무 터무니없는 상상일지도 모르지만 수 많은 사람들이 인공지능을 통해 제한된 영역의 데이터만 접근하고 또 데이터로 인공지능을 통해 생산한 데이터가 다시 인공지능의 학습으로 들어간다고 생각하면 그냥 직관적으로 볼 때 더 좋은 방향은 아니라는 생각이 드네요. 물론 AI에 의해 발생하는 과다한 트래픽 문제도 마냥 무시할 수는 없겠지만요.
ChatGPT같은 AI가 웹에서 결과를 찾을 때 구글 검색을 한다음 그 결과만 쓴다는걸까요..? 그래서 구글이 알려주지 않으면 결과에서 제외...?
제가 아는 지식으로 덧붙이자면, url로 구글 검색을 할 때, query param으로 "num=100"을 입력하면 한번에 상위 100개의 검색 결과를 가져올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최근에 그걸 구글에서 삭제해서 이제는 상위 10개 밖에 못 가져옵니다. 그래서 문제가 되는게, SEO 관련 SaaS에서는 해당 기능으로 구글에서 해당 키워드를 넣었을 때, 몇위에 나오는지 보여줬는데 지금은 10위까지만 나오니 순위 표기가 깨졌고요. 두번째는 본문에서 말한 것처럼 AI 쪽에서 웹 검색 후 내용을 가져올 때, 상위 10개만 보이니 위키피디아나, 우리로 치면 나무위키 글만 나오고, 가장 중요한 Reddit 같은 글이 안 걸린다는 문제가 생겼죠.

1 month ago
9








![닷컴 버블의 교훈[김학균의 투자레슨]](https://www.edaily.co.kr/profile_edaily_512.pn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