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ramework 노트북과 JBOD 디스크로 10TB S3 스토리지를 직접 구축한 경험 공유임
- 노트북에는 ZFS와 garage S3를 조합하여 안정적 파일 저장과 호환성을 확보함
-
4개월 이상 무정지로 구동되었으며, 시스템 업그레이드 후에도 문제없이 서비스 유지함
-
garage S3 버전을 1에서 2로 무리 없이 업그레이드하는 안정성 경험을 전함
-
ZFS와 USB 조합에서 초기 문제를 겪었으나, 메타데이터 저장 위치 조정으로 해결함
프로젝트 개요
- 작성자는 약 5개월 전부터 자체 S3 호스팅을 시작함
- 주요 목적은 대용량 저장 공간이 저렴하게 필요했던 AppGoblin SDK의 대규모 앱 데이터 추적 작업을 위해서임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
-
Framework 노트북 중 중고 제품을 구매, 화면이 없던 구형 모델이 홈 서버용으로 적합함
- 추가로 JBOD(Just a Bunch Of Disks) 외장 디스크 케이스를 사용해 저장 용량을 확보함
- 노트북에는 ZFS 파일 시스템과 garage S3 오브젝트 스토리지를 결합해 구성함
4개월간 실사용 경험
- 업무와 일상으로 바빠서 거의 4개월 이상 장비를 방치했으나, S3 스토리지는 문제 없이 활용 가능했음
- 약 10TB 저장 용량을 이미 활용 중이며, 시스템은 장시간 무정지로 안정적으로 동작함
- 최근 업그레이드가 필요해 시스템을 재시작했으나, 모든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복구됨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및 유지보수
-
garage S3의 v1에서 v2로의 업그레이드 역시 별다른 문제 없이 진행됨
- 시스템 관리 측면에서 큰 스트레스 없이 주말에 무리 없이 관리할 수 있었음
ZFS와 USB 연결상의 주의점
-
ZFS를 USB로 노트북과 JBOD를 연결해서 사용하는 점이 일반적이지 않다는 여러 조언을 받음
- 초기에 garage의 메타데이터를 JBOD/ZFS에 저장할 때, 읽기/쓰기 부하로 ZFS에서 문제가 발생함
- 이에 따라 메타데이터 저장소를 노트북 내장 저장소로 이동해 문제를 해결함
전체적인 평가
- 실사용 5개월 동안 경제적이고 안정적인 자가 S3 스토리지 구축 경험을 통해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음
- 스토리지 시스템의 유지보수 용이성과 안정성을 경험한 긍정적인 사례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