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rXiv의 컴퓨터 과학(CS) 카테고리가 리뷰(서베이) 논문과 포지션 페이퍼에 대한 새로운 심사 관행을 도입
- 이제 이러한 논문은 학술지나 학회에서 동료평가(peer review)를 거쳐 수락된 후에만 arXiv에 제출 가능
- 제출 시 성공적인 동료평가를 증명하는 문서(예: 저널 참조, DOI 메타데이터)를 반드시 포함해야 함
-
검증 문서가 없는 제출물은 거절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최근 생성형 AI로 인한 과도한 논문 유입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
- arXiv는 본 변경을 통해 품질 높은 검토 논문만 공유하고, 핵심 연구 논문 유통에 집중하려는 목적
변경된 제출 요건
- 리뷰 논문과 포지션 페이퍼는 학술지나 학회에서 수락 및 동료평가 완료 후에만 arXiv에 제출 가능
- 제출 시 성공적인 동료평가 증빙 문서를 포함해야 함
- 증빙이 없을 경우 거절될 가능성이 높음
-
워크숍 수준의 심사는 전통적인 동료평가로 간주되지 않으며, 제출 요건을 충족하지 않음
정책적 배경
- arXiv의 공식 정책상 리뷰 논문과 포지션 페이퍼는 공식적으로 허용된 콘텐츠 유형이 아님
- 과거에는 소수의 고품질 논문만 모더레이터 재량으로 수락됨
- 최근 생성형 AI와 대형언어모델(LLM) 의 확산으로 인해 품질이 낮은 리뷰 논문이 급증
- 대부분이 단순 참고문헌 나열 수준으로, 새로운 연구 논의가 부족
- 이러한 상황에서 모더레이터의 검토 부담이 과도해졌으며, arXiv의 핵심 목적(연구 논문 공유) 에 지장을 초래
변경의 목적
-
전문가가 작성한 가치 있는 리뷰 및 포지션 페이퍼만 arXiv에서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지원
-
모더레이터의 업무 부담 완화 및 공식 콘텐츠 유형 검토에 집중
- arXiv의 핵심 목표인 신속하고 자유로운 과학적 발견 촉진을 유지
기존과 현재의 차이
- 과거에는 리뷰 논문이 소수의 저명 연구자나 공식 기관(예: Annual Reviews, IEEE, Computing Surveys) 요청으로 작성되어 품질이 높았음
- 포지션 페이퍼도 학회나 정부 연구단체(예: Computing Research Association, National Academies)에서 제작된 경우가 대부분
- 현재는 매달 수백 건의 리뷰 논문이 제출되며, 품질 관리가 어려운 수준에 도달
외부 심사 기관 활용
- arXiv는 자체적으로 품질 검증을 수행할 인력과 자원이 부족
- 대신 신뢰할 수 있는 외부 심사 기관(학회·저널) 의 검증을 인정
- 이들 기관은 프라이버시, 윤리, 안전, 보안 등 AI 관련 주제에 대해 심층 검토 수행
- 이를 통해 arXiv는 품질이 보장된 논문만 공유할 수 있게 됨
재제출 및 예외
-
동료평가 미완료로 거절된 논문은, 이후 평가를 완료한 경우 이의제기(appeal) 절차를 통해 재제출 가능
-
과학기술의 사회적 영향을 다루는 연구 논문(cs.CY, physics.soc-ph 등)은 이번 변경의 적용 대상이 아님
다른 카테고리로의 확산 가능성
- arXiv의 각 카테고리는 전문가 모더레이터가 독립적으로 운영
- 모든 카테고리가 동일한 정책을 따르지만, 리뷰 논문은 기본적으로 비공식 콘텐츠 유형
- 다른 분야에서도 LLM 기반 논문 급증이 발생할 경우, 유사한 심사 강화 조치가 도입될 수 있음
- 이러한 변경이 있을 경우 공식적으로 공지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