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는 실제로 어떤 일자리를 대체하고 있을까? CG아티스트(-33%), 작가(-28%)가 가장 크게 감소

5 days ago 5

  • 지난 2년간 1억8천만 건의 글로벌 구인 공고를 분석한 결과, 전체 공고 수는 전년 대비 8% 감소
  • 가장 큰 감소폭을 보인 직군은 컴퓨터 그래픽 아티스트(-33%), 작가(-28%), 사진가(-28%) 등 창의적 실행 직무
  • 반면 머신러닝 엔지니어(+40%) , 로보틱스 엔지니어(+11%) , 데이터센터 엔지니어(+9%)AI 인프라 관련 직무는 급성장
  • 의료 서기(-20%)지속가능성·컴플라이언스 관련 직무(-25%~-37%) 는 빠르게 감소, 반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고객 서비스는 안정세 유지
  • 전반적으로 AI의 영향은 선택적이며, 단순 실행형 직무는 감소하고 전략·리더십 중심 역할은 유지 또는 성장 추세

전체 구인 공고 추이

  • 2025년 전체 구인 공고는 2024년 대비 8% 감소, 이는 Indeed의 미국 내 7.3% 감소 수치와 유사
  • 이 수치는 시장 전반의 기준선으로 사용되어, 개별 직무의 증감률을 비교하는 기준이 됨
  • AI가 전체 감소의 원인인지 단정하기 어렵지만, 시장 평균 대비 급격한 변동을 보이는 직무에서 AI의 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남

창의직 감소와 리더십 직무의 차이

  • 컴퓨터 그래픽 아티스트(-33%) , 사진가(-28%) , 작가(-28%) , 기자(-22%) 등 창의적 실행 직무가 큰 폭으로 감소
    • 그래픽 아티스트는 2년 연속 감소(2024년 -12%, 2025년 -33%)
  • 반면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프로듀서, 매니저전략·기획 중심 역할은 상대적으로 안정
  • 사용자 리서치클라이언트 피드백 해석 등 복합적 의사결정이 필요한 디자인 직무는 감소폭이 작음
  • 결론적으로 ‘창의직 전반’이 아닌 ‘창의 실행직’ 중심의 감소 현상

컴플라이언스 및 지속가능성 직무 감소

  • 기업 컴플라이언스 전문가(-29%) , 지속가능성 전문가(-28%) , 환경 기술자(-26%) 등 규제 관련 직무가 급감
    • 지속가능성 매니저(-35%), 디렉터(-31%), 최고 컴플라이언스 책임자(-37%) 등 조직 전 계층에서 감소
  • 반면 무역 컴플라이언스 전문가+18% 증가, 관세 관련 이슈와 연관된 성장으로 언급
  • 이러한 직무군은 AI보다는 규제 환경 변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설명됨

의료 서기 직무의 급감

  • 의료 서기(Medical Scribe) 공고는 2025년 20% 감소, 관련 직무 대비 큰 폭
    • 의료 코더(-0.02%), 의료 보조(-6%)와 비교 시 차이 뚜렷
  • AI 문서화 도구가 환자 대화 기록을 자동 생성하면서 대체 가능성이 제기됨
  • 다만 2023~2024년에는 -2% 감소에 그쳐, 장기 추세 판단은 시기상조로 평가

AI 및 기술 인프라 직무의 성장

  • 머신러닝 엔지니어는 2025년 +40% 증가, 2024년 +78%에 이어 2년 연속 급등
  • 로보틱스 엔지니어(+11%) , 리서치/응용 과학자(+11%) , 데이터센터 엔지니어(+9%)AI 인프라 직무군 전반 성장
  • 기업들은 모델 개발(Researcher), 배포(ML Engineer), 물리적 적용(Robotics), 인프라(Data Center) 인력을 모두 확충 중

리더십 수요 강화

  • 시니어 리더십(-1.7%) , 매니저(-5.7%) , 개별 기여자(-9%) 로, 직급이 높을수록 감소폭이 작음
  • 상위 10개 성장 직무 중 절반이 디렉터급 이상
    • 예: 데이터 엔지니어링 디렉터(+23%), 부사장(Engineering VP, +12%)
  • AI 도구 활용으로 리더가 직접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거나 의사결정 효율을 높이는 사례 등장

마케팅 직무의 변화

  • 전체 마케팅 직무는 시장 평균 수준이지만, 인플루언서 마케팅 전문가+18.3% 증가
    • 2024년에도 +10% 증가로 2년 연속 성장
  • 브랜드 신뢰 하락AI 생성 콘텐츠 확산 속에서, 인간 중심의 신뢰 기반 마케팅이 강세
  • 전문가 인용에 따르면, 인플루언서는 “신뢰할 수 있는 온라인 친구”로 인식되어 브랜드 연결의 핵심 채널로 부상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의 안정세

  • 2025년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직무는 전년 대비 큰 변화 없음
  • AI 코딩 도구(Copilot, Codex, Claude Code 등) 확산에도 불구하고, 생산성 향상 효과가 대체를 상쇄
  • 단, 프런트엔드 엔지니어링은 상대적으로 감소, 간단한 웹·앱 제작 도구 확산의 영향 가능성 언급
  • 전반적으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는 여전히 안정적 직군으로 평가

고객 서비스 직무의 유지

  • 고객 서비스 담당자-4% 감소, 시장 평균(-8%)보다 양호
  • AI 챗봇 도입 사례(Klarna 등)에도 불구하고, 공감과 판단이 필요한 업무에서 인간 대응의 필요성 유지
  • 잘못된 AI 응답으로 인한 기업 이미지 손상 사례도 언급되어, 완전 대체는 미진

영업 직무의 혼합 양상

  • 전체적으로 영업 직무는 시장 평균보다 양호, 일부는 성장세
    • 계정 관리자(+1.6%), 영업 디렉터(+2.5%), 수익 디렉터(+10.2%)
  • 수익 디렉터(Director of Revenue)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영업 직무, 데이터 기반 수익 최적화 역할로 부상
  • 영업 운영 전문가(-8%) 는 감소, AI 도구가 데이터 중심 업무 일부를 대체 가능성 언급
  • GTM 엔지니어는 표본 부족으로 제외되었으나, 연간 205% 성장으로 빠른 확산세

결론

  • AI는 대규모 실업을 초래하지는 않았지만, 특정 직무군에 선택적 영향을 미침
  • 창의 실행직, 의료 서기, 규제 관련 직무는 감소, 반면 전략·리더십·기술 인프라 직무는 성장
  • 창의직은 전략과 실행으로 분화, 마케팅은 인플루언서 중심으로 재편, 조직은 리더십 강화·중간관리 축소 경향
  • 프런트엔드 단순 업무의 상품화, 백엔드·AI 인프라의 가치 상승이 병행
  • 향후 2026년에도 이러한 직무 양극화 추세 지속 여부가 주요 관찰 포인트로 제시됨

연구 방법론

  • Revealera의 글로벌 구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650개 표준화 직무군 분류
  • Amazon Mechanical Turk를 활용해 수백만 건의 공고를 라벨링 후, 머신러닝 모델로 전체 1억8천만 건 분류
  • 데이터는 기업 공식 웹사이트에서 직접 수집되어 중복 최소화, 산업·규모·지역 다양성 확보
  • Sentence Transformer(all-mpnet-base-v2) 기반 임베딩과 랜덤 포레스트 분류기를 결합한 지도학습 파이프라인 구축
  • 2023~2025년(1~10월) 기간의 직무별 증감률을 비교하여 AI 영향 가능성 분석 수행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