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그룹이 주식 기반 성과 보상제도를 도입한다. 우수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차원이다.
한미그룹은 1일 임직원을 대상으로 주식 기반 성과 보상제도를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우수한 경쟁력을 갖춘 인재를 영입하려면 글로벌 수준의 성과 보상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대상은 시행 시점 기준 재직 중인 한미사이언스, 한미약품, 온라인팜, 한미정밀화학 등 주요 계열사 임직원이다. 다만 대주주는 대상에서 제외된다.
주식 기반 보상제도는 RSA와 RSU 두 가지 방식으로 운영된다. RSA는 기존의 인사평가에 따라 성과급을 차등화하는 ‘퍼포먼스 인센티브(PI)’를 자기주식으로 수령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임직원은 반기 평가 결과에 따라 PI 금액의 50~100%를 자기주식으로 선택해 받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가 하락 손실은 회사가 별도로 보전한다.
RSU는 회사의 장기 가치 상승에 기여한 성과에 대한 보상 방식이다. 매출 또는 이익이 큰 폭으로 늘어나거나, 신약 승인 및 기술수출 등 기업 가치 제고에 큰 영향을 미치는 성과를 달성한 경우 공이 있는 임직원에게 연봉의 최대 100% 상당의 자기주식을 차등 지급한다.
이번 제도는 글로벌 수준의 성과 보상 체계에 가깝다. 한미그룹은 이번 보상제도를 통해 회사와 임직원이 공동의 목표에 집중하고 성과를 공유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미그룹은 세부 운영안 확정 후 이사회 의결을 거쳐 최종 방안을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김재교 한미사이언스 대표는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지는 제약·바이오 산업 속에서 성과 중심의 보상체계는 기업의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필수 조건”이라며 “이 제도를 통해 글로벌 우수 인재를 유치하고 임직원 모두가 주인의식을 갖고 함께 성장하는 문화를 정착시켜 지속 가능한 기업가치를 실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