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딥러닝이 경기도청의 '2025년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사업'에 비전언어모델(VLM) 기반 문서 구조 분석 솔루션 'DEEP Parser'을 공급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인공지능(AI)·빅데이터 및 클라우드 전문기업 엠티데이타와 협력해 진행된다.
총 131억원 규모의 이번 사업은 전국 광역지자체 행정업무에 생성형 AI 기술을 본격 적용하는 사례다. 약 11개월간 진행되는 프로젝트를 통해 경기도청은 문서작성, 회의관리, 정보검색 등 실 무 중심의 AI 업무 지원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의 핵심은 경기도청 문서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HWP, PDF 등 AI가 직접 활용하기 어려운 문서 형식을 구조화된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DEEP Parser는 행정문서·정책자료 등을 정확히 디지털화하고 구조화해 문서작성·회의관리·정보검색 등 실무 AI 업무의 기반 데이터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김지현 한국딥러닝 김지현 대표는 “경기도청 생성형 AI 플랫폼 프로젝트를 통해 공공 부문의 디지털 전 환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게 되어 의미가 크다”며 “DEEP Parser의 문서 구조 분석 기술은 단 순한 문서 인식을 넘어 AI가 진정으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지식 데이터 베이스 구축의 핵심이다. 앞으로도 생성형 AI 생태계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