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클루커스가 구글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디지털서비스 이용지원시스템' 등록을 완료했다.
이번 등록은 구글 클라우드가 획득한 클라우드 보안 인증제도(CSAP) '하 등급'을 기반으로 진행됐다. 이를 통해 클루커스는 공공부문에서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한 구글 클라우드 도입 제안을 본격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
구글 클라우드는 제미나이 기반 생성형 AI 기술 빅쿼리를 중심으로 한 고도화된 데이터 분석 플랫폼 등 실제 행정 업무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기술을 제공 중이다. 이는 민원 응대 자동화, 정책 문서 요약, 콘텐츠 분류 등 공공 분야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생성형 AI 활용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클루커스는 구글 클라우드의 공인 프리미어 파트너로서 데이터 및 인공지능(AI), 보안, 운영 최적화 등에서 축적된 전문성을 보유했다. 이러한 최신 흐름을 국내 기관 환경에 맞게 적용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AI 활용 시나리오를 제안하고 시범 적용(PoC)부터 검토 및 도입까지 전 과정을 밀착 지원할 예정이다.
홍성완 클루커스 대표는 “이번 등록으로 공공기관도 제미나이 기반 생성형 AI 등 구글 클라우드 기술의 실무 적용을 폭넓게 검토해 볼 수 있게 됐다”면서 “클루커스는 기관별 기술 환경과 과업 목적에 맞춰 실질적인 디지털 전환이 이뤄지도록 현장 중심 전문 서비스를 지속 확대하는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클루커스는 네이버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또한 디지털서비스 이용지원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으며 국내 엔터프라이즈와 공공 기관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플랫폼 및 생성형 AI 구축 경험을 폭넓게 축적했다. 보안·비용 최적화·운영 자동화 전반을 아우르는 전문 매니지드 서비스를 통해 고객 디지털 전환과 AI 혁신을 실질적으로 지원한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