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enjafrdeiteshizh-CNvith





[취재수첩] 경영인으로 불리길 원치 않는다는 백종원 대표

1 month ago 8

[취재수첩] 경영인으로 불리길 원치 않는다는 백종원 대표

“기대가 너무 컸을까요.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대표로서 위기관리 능력이 세간의 명성을 따라가지 못하는 분위기네요.”

요즘 유통업계에서는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가 주요 화제다. 백 대표는 위기의 골목 식당들을 구해내는 음식 전문가로 유명해져 지난해 11월 기업공개(IPO)에 성공했다. 상장 첫날 주가는 공모가보다 50% 높은 5만1400원에 거래를 마쳤다. 탁월한 경영 솜씨로 승승장구할 것이란 기대 속에 주가는 6만4500원까지 치솟기도 했다.

그로부터 넉 달이 지난 지금, 백 대표를 바라보는 시각은 급속도로 차가워졌다. 시작은 ‘빽햄’ 가격 논란이었다. 백 대표는 지난 1월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서 설날 선물세트용 빽햄을 45% 할인한 가격이라며 판매했다.

하지만 세일 가격이 경쟁 제품인 스팸보다 비싸고 돼지고기 함량도 적다는 항의를 받았다. 이후로도 ‘감귤 오름’ 맥주 한 캔에 들어간 감귤 착즙액이 0.032%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일었고, ‘백종원의 백석된장’에 중국산 개량 메주 된장 등을 사용해놓고 국산으로 홍보했다는 의혹도 생겼다. 충남 예산 백석공장의 농지전용도 도마에 올랐다.

결국 백 대표는 감귤 맥주 함량 문제와 농지법 위반 사건 등에 대해 두 차례 사과문을 올렸다. 그런데도 백 대표를 공격하는 여론은 좀처럼 잦아들지 않고 있다.

백 대표도 억울할 것이다. 지금 비난의 목소리를 내는 사람 가운데 턱도 없는 이유도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세상의 관심은 따로 있다. 백 대표를 공격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합리적인지를 묻는 것이 아니라 백 대표의 위기 돌파 능력이 어느 정도인지 따져보고 있다. 식품업계에서는 지금까지 성적이 낙제점에 가깝다는 평가가 주다. 조그만 식당들을 통해 보여준 빠삭한 분석력과 대응력을 상장사 대표로서는 아직 드러나지 못했다는 얘기다. 백 대표가 증시의 이해관계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는 말도 나온다.

백 대표는 더본코리아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경영인으로 불리기를 원치 않으며 음식 탐구가로 불리기를 원한다”고 적었다. 경영인으로 불리기를 원치 않으면 전문 경영인을 세워야 한다.

백 대표는 28일 열리는 더본코리아의 첫 번째 주주총회에 참석할지 여부를 전날까지도 공개하지 않았다. 수많은 투자자는 스타 음식 탐구가보다 더본코리아의 기업 가치를 안정적으로 올려줄 기업가를 원한다. 더본코리아 본사와 더본코리아라는 우산 아래 영업하는 3066개 매장의 임직원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