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칼럼] 타이레놀 논란

1 month ago 16

입력2025.09.23 17:36 수정2025.09.23 17:36 지면A31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자료에 따르면 미국 11개 주의 어린이 자폐증은 36명 중 1명꼴로 2000년의 150명 중 1명에 비해 4배 이상 늘었다. 한국도 취학아동 38명 중 1명꼴로 상당한 유병률을 보인다는 통계가 있다. 그러다 보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등 자폐증을 다룬 영화와 드라마도 많다.

[천자칼럼] 타이레놀 논란

자폐증 급증에 대해선 전문가들도 명확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대체로 꼽는 이유는 분류 기준이 크게 넓어졌다는 것이다. 진단 기준이 6개에서 16개로 늘었는데, 과거엔 6개를 모두 충족해야 했지만 요즘은 16개 중 절반만 돼도 자폐증으로 분류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유전적 요인에 더불어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복잡한 질병마저 정치의 영역에 들어섰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케네디가의 일원인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보건복지부 장관이 그 장본인이다. 지난 미국 대선에서 케네디가 트럼프 진영에 합류하면서부터 예견된 일이다. 트럼프는 케네디에게 자폐증 등 만성 질환의 해결사 역할을 맡겨 ‘미국을 다시 건강하게 만들겠다(MAHA)’고 했다.

그들이 자폐증의 주범으로 제시한 게 전 세계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해열·진통제 타이레놀이다. 트럼프는 임신부가 타이레놀을 복용하면 자폐증을 유발할 수 있으니, 사용 자제를 권고했다. 아세트아미노펜이 주성분인 타이레놀은 태아 기형을 야기할수 있는 이부프로펜 계열의 소염·진통제에 비해 가장 안전한 진통제로 알려져 왔으니, 트럼프의 발언으로 전 세계 임신부가 불안에 휩싸이게 됐다.

트럼프는 딱히 명확한 의학적 근거를 대지 않았다. 다만 2022년 이후 타이레놀 제조사 켄뷰 등을 상대로 자폐증 관련 소송이 500건 이상 제기됐고, 최근 미국 연구기관에서 타이레놀과 자폐증 간 연관 가능성을 제기한 보고서들은 있다. 그러나 의학계에서는 올해로 발매 70년이 된 타이레놀의 안정성에 훨씬 큰 점수를 주고 있다. 결국 미 FDA가 진위를 가리겠지만, 의사도 과학자도 아닌 트럼프가 민감한 문제를 너무 쉽게 건드렸다는 비난은 면키 어려워 보인다.

윤성민 수석논설위원 smyoon@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