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난해 'AI 대중화 원년' 과제에 7100억원 투입···디지털 혁신 성과 잇따라

9 hours ago 1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제공][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정부가 지난해를 '인공지능(AI) 대중화 원년'으로 삼으면서 수천억원 규모 예산을 투입하고, 범국가적 디지털 전환 정책을 추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지능정보화 동향과 성과 등을 취합해 작성한 '2024 국가지능정보화백서'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해 'AI 일상화와 산업 고도화 계획'을 수립하고, 총 69개 과제에 걸쳐 예산 약 7100억원을 투입했다.

생성형 AI가 빠르게 확산하고, 국민 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 데 따른 것이다.

2024년 기준으로 국민 4명 중 1명이 생성형 AI 서비스를 직접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AI 기술은 교육, 의료, 업무, 창작 등 다양한 분야에 실질적으로 활용됐다.

정부는 AI를 국민의 삶으로 확산하기 위해 생활 밀착형 서비스 확대와 산업 현장 적용, 공공 행정 혁신, 인재 양성 등 과제를 추진했다. AI 디지털교과서, 의료 진단 보조 시스템, 복지 사각지대 발굴, 스마트 돌봄 서비스가 대표 사례로 언급됐다.

69개 과제는 사회적 포용과 연결됐다. 정부는 AI 활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디지털포용법'을 제정하고, 노인·장애인·저소득층 등 디지털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지원을 병행했다.

글로벌 규범 정립도 본격화했다. '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을 국회에서 통과시켰다. 이 법은 2026년 1월부터 시행된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유럽연합(EU)에 이어 세계 두 번째로 AI 기본법을 제정한 국가가 됐다.

정부는 AI 확산에 따른 위험 대응 체계도 마련했다. '신뢰할 수 있는 AI 실현 전략' 수립과 함께 AI 안전연구소 설립, 윤리 기준 제정이 추진됐다.

디지털 전환은 전국으로 확산했다. 경기도는 광역버스 혼잡도 분석 시스템을 운영했고, 울산은 유휴공간 공유 플랫폼을 도입했다. 전남은 스마트 악취 관제, 충남은 디지털트윈 기반 문화재 심의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지역 디지털 혁신 사례가 잇따랐다.

백서는 “AI 기술이 성능 중심 경쟁에서 사회적 가치 창출 중심으로 무게중심이 이동하고 있다”며 “이러한 변화에 정부와 사회가 유연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