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상 모두가 다 아는 걸 굳이 묻는 건,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이는 덩치가 좀 있는 동물에게 주로 해당되는 일일 뿐, 요즘 같은 가을이면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는 귀뚜라미에겐 해당되지 않는다. 이들의 귀는 우리 식으로 하면 무릎쯤에 있다. 초등학생들에게 이 얘기를 하면 약속이나 한 듯 같은 반응이 튀어나온다. “진짜요? 왜요?” 말도 안 된다는 표정 역시 똑같다.
호기심은 부풀릴수록 재미있는 법. 이런 반응이 스프링처럼 튀어오르면, 대답 대신 한술 더 뜬다. “그런데 귀는 꼭 두 개여야 할까?” 너무나 당연한 걸 다시 물으면 선뜻 대답하지 못한다. 머리 옆에 있어야 할 귀가 다리에 있다니, 이번 질문도 심상치 않다고 여기는 것이다. 그래서 “사마귀는 귀가 하나야”라고 말하면, 다시 한 번 같은 반응이 날아든다. “진짜요? 왜요?” 호기심 반, 믿을 수 없다는 표정 반이다. 이런 혼란스러움을 과학으로 이끄는 질문이 이럴 때 필요하다. “그런데 우리 귀는 왜 머리 양옆에 있을까?”
과학을 조금 아는 이라면 “소리를 잘 듣기 위해서”라고 대답할 것이다. 맞다. 덩치가 좀 있는 경우, 귀가 머리 양옆에 있는 게 효과적이다. 가장 잘 들을 수 있는 위치가 그곳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핵심어는 ‘효과적’이다.그렇다면 상대적으로 긴 다리를 가진 귀뚜라미에겐 귀가 어디에 있어야 효과적일까? 이들의 조상을 거슬러 올라가면 1억 년을 훌쩍 넘어가는데, 그 오랜 시간 동안 같은 위치였다는 건 지금의 위치가 가장 적합하다는 뜻이다. ‘사촌’인 여치 역시 무릎에 귀가 있다. 물론 이 역시 당연한 것은 아니다. 메뚜기와 매미의 귀는 배에 있으니까.
그럼 사마귀의 귀는 왜 하나일까? 사마귀는 비행을 거의 포기하고 땅 위 생활에 비중을 두는 생존 방식을 선택했다. 그 덕분에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었지만, 지상에는 포식자가 많다. 그래서 개발한 대비책이 ‘즉각 비상 탈출’이다. 위험하다 싶으면 앞뒤 가리지 않고 무조건 급전직하 낙하한다. 이들에겐 빠른 추락이 곧 전략이다. 몸이 가벼우니 추락사 같은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 이 정도만으로 충분히 효과적이기에 굳이 두 개의 귀를 가질 필요가 없다.
우리에겐 이들이 이상하지만, 이들의 시선에서 보면 다르다. ‘왜 귀를 머리에 달고 있지?’ 이렇게 생각할 수 있다. ‘이상하다’는 건 특정한 관점을 전제한다. 자신의 관점을 정상이라고 여기면 다른 것은 이상하게 보이기 마련이다. 그러나 자연은 다르다. 자연에는 이상한 것이 없다. 오직 ‘무엇이 더 살아있음에 유용한가’만 있을 뿐이다. 삶이 다르면 살아가는 방식은 물론 신체 역시 다른 게 당연하다. 무한한 다양성은 이런 결과다. 이상한 것이 곧 정상인 것이다. 어떤 특정한 관점만을 고수하는 건 스스로를 위험에 빠뜨리는 일이다. 변화가 빠른 세상에서 이보다 위험한 건 없다.서광원 인간자연생명력연구소장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

2 weeks ago
6
![[朝鮮칼럼] ‘진보 정권의 아이러니’ 재현하지 않으려면](https://www.chosun.com/resizer/v2/VXXDKUIJUJCOLIT4M4DA47BFKY.png?auth=47d5c0a683690e4639b91281f2cab5fd3b413998a70d2183f12a92e1f1b8119d&smart=true&width=500&height=500)
![[강헌의 히스토리 인 팝스] [287] K팝, 그래미상 ‘빅4′ 고지 오를까](https://www.chosun.com/resizer/v2/5XHK7PZ56NHTTKH7COJFQ4M54Q.png?auth=664876bab5cee8d9c73896a7d01b64f27386130e62bef9ae4289fdb3837c803b&smart=true&width=500&height=500)
![[동서남북] 원산·갈마 리조트에서 이산가족 상봉을](https://www.chosun.com/resizer/v2/273GIBFF3NCHBC5LVGUUIDK3GM.png?auth=2dc473a67ab5cc661f563ad05832554564124579b2d90352af8c3782f593b38f&smart=true&width=500&height=500)
![[문태준의 가슴이 따뜻해지는 詩] [95] 밥그릇 심장](https://www.chosun.com/resizer/v2/JZ2DPK7OZBANLBLB5SS5OH3S6I.png?auth=9fb621a8d43376974dd4c21736aba72e87fd3876911d9303e1df9f5adebb9cb7&smart=true&width=500&height=500)
![[특파원 리포트] 대만에는 기본소득 논쟁이 없다](https://www.chosun.com/resizer/v2/JEFLYAAZWBK7PG7PMLZHG6RFU4.jpg?auth=98b50c11589d754c00fd03fe04e957fd6ad9b403deef8064bc044ec5c18c66c9&smart=true&width=4500&height=3001)
![[기고] 싱가포르·UAE·라오스에 한우 수출길 열려… ‘민관 원팀’의 결실](https://www.chosun.com/resizer/v2/Y4KMWLVQPNHCXHQ432UOMWDPME.png?auth=5a11a1f81b90ca145571949041e243b5a6aeae346ec6bbedab5f93d77c4e084d&smart=true&width=2812&height=3515)
![[조용헌 살롱] [1517] 대구의 書刻 고수를 찾아서](https://www.chosun.com/resizer/v2/B7FJ6EYGEJDANM4AZSIJ2H7WKM.png?auth=6636bf691c88dacb12fa4ad1d7312b92733dee5192a0d28818de135e45d86208&smart=true&width=500&height=500)
![[新중동천일야화] 중동 평화 중재한 이집트 엘시시, 종교·이념 대신 실리 택하다](https://www.chosun.com/resizer/v2/UABSJU7FUZDRRGVR7J77OEW7YY.png?auth=ef7182a93dadf8cb6d7c49da83fdf8cafc4744e93140ffd7065cec3f33cc1235&smart=true&width=500&height=500)







![닷컴 버블의 교훈[김학균의 투자레슨]](https://www.edaily.co.kr/profile_edaily_512.pn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