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우울증 입원 후 휠체어 퇴원, 여권 "동정 일으키려 생쇼"
이명박 수감중 당뇨 입원, 사면 후 청계천 징검다리 폴짝 뛰어
정태수 청문회에 휠체어 출석, 중풍 이유로 침상에 드러눕기도
휠체어 정치 식상…탄핵 법꾸라지 전략 실패를 반면교사로
이미지 확대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재현 선임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53) 씨가 최근 휠체어를 타고 병원에서 귀가하는 모습이 전파를 탔다. 김씨는 12·3 비상계엄을 일으킨 대통령 남편이 구속되고 파면되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심신이 극도로 피폐해졌다는 게 그와 가까운 사람들의 전언이다. 권력 2인자를 뜻하는 'V2'에서 특검 소환을 앞둔 중대사건 피의자로 전락한 터라 김씨가 정치적 공인으로서 겪고 있을 고통도 남다를 것으로 짐작된다.
김씨는 우울증을 호소한다고 하지만 국민의 시선은 호의적이지 않다. 휠체어가 눈에 거슬렸기 때문이다. 걷기도 벅찬 환자가 타는 휠체어는 유력 정치인이 타면 본디의 의미가 '코스프레'로 바뀐다. 가장 가까운 예가 이명박(84) 전 대통령이다. 문재인 정부 '윤석열 검찰'에 의해 구속된 그는 수감 중 당뇨 등 지병 악화를 들어 입·통원 치료를 받았고, 그때마다 휠체어로 이동하는 모습이 언론에 공개됐다.
이미지 확대
(서울=연합뉴스) 이지은 기자 = 이명박 전 대통령이 15일 오전 서울 청계천에서 '청계천을 사랑하는 모임'(청사모) 구성원들과 옛 참모들과 함께 산책하고 있다. 2023.5.15 [공동취재]
'불쌍한 이명박'의 모습은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사면받고 나선'씩씩한 이명박'으로 180도 바뀌었다. 자신의 트레이드마크인 청계천을 찾아 2시간가량 보무당당하게 거닐면서 징검다리를 폴짝폴짝 뛰어넘기도 했다.
'전직 대통령 구속' 리포트의 단골 영상으로 등장하는 '호송차에서 내려 비틀거리는 이명박'이 맞느냐는 의문이 따랐다. 부인 김윤옥 씨의 정성 덕분에 빠르게 기력을 되찾았다고 하나 휠체어에 앉았던 팔순 넘은 노인의 회복 속도라 보기 어려워 구차한 해명으로 들렸다.
'이러다 정말 죽을 거 같다'는 동정론을 일으켜 재미를 보려는 휠체어 전략은 고(故) 정태수 한보그룹 총회장이 원조다. 정 회장은 1997년 외환위기를 촉발한 한보 게이트 때 검찰과 법원에 가면서 꼭 휠체어를 타고 모자와 마스크를 착용했다. 국회 한보 청문회에 출석해선 환자복을 내복으로 껴입고 두꺼운 흰 장갑을 꼈다.
이미지 확대
(서울=연합뉴스) 조보희 기자 = 한보그룹 정태수 총회장이 15일 서울대병원에 입원해 뇌졸증 진단 MRI 촬영을 마치고 병실로 옮겨지고 있다. 1997.4.15 [본사 자료사진]
추위를 심하게 타는 중환자의 모습으로 국회에 왔지만, 동정은커녕 재벌에 대한 국민적 분노만 키웠다. "주인인 내가 알지, 머슴(계열사 사장)이 뭘 아느냐"라는 희대의 망언이 성난 민심에 기름을 끼얹었다.
정태수 회장 이래 30년 가까이 정치권과 재계의 '범털'들이 애용해온 휠체어 쇼는 이젠 식상함을 줄 정도로 시효가 다한 느낌이다. 가난 때문에 빵을 훔치는 민생 사범이 아니라면 긁어 부스럼만 될 뿐이라는 게 변호사들의 조언이다.
김건희 씨에게 난생처음일 정치적 통증의 깊이는 짐작하고도 남지만, 당장 "동정론을 일으키려 생쇼를 한다"는 여권의 공세만 봐도 휠체어는 가급적 멀리하는 게 낫다. 차라리 윤 전 대통령이 정치인으로 변신하기 전 당당하고 씩씩했던 여성 CEO의 모습으로 대중 앞에 나서는 게 나을지 모른다. 멀리 볼 것도 없다. 수사망을 요리조리 피하는 '법꾸라지' 전략이 탄핵의 한 사유가 되지 않았던가.
jah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25년07월02일 05시50분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