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의 대항마’로 꼽히는 앤스로픽이 코딩에 특화된 인공지능(AI) 에이전트(비서)를 공개했다. 직전 모델과 비교해 AI의 능동성과 추론 능력을 대폭 높여 더 오랜 시간 동안 스스로 코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22일(현지시간) 앤스로픽은 코딩 작업에 특화된 새 AI 에이전트 ‘클로드 오푸스 4’를 공개했다. 새 모델은 직전 모델과 비교해 웹 검색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는 능력을 대폭 끌어올렸다. 앤스로픽에 따르면 클로드 오푸스 4는 프로그램 개발 맞춤형 벤치마크(성능평가) SWE-벤치에서 72.5%의 정답률로 기존 코딩 특화 모델을 압도했다.
이번 모델은 사용자의 별다른 명령 없이 7시간 동안 지속해서 스스로 코딩 작업을 했다. 이전에 45분 지속하는 데 그친 포켓몬 게임을 24시간 연속으로 하기도 했다.
미국 주요 테크기업이 새 코딩 특화 AI 에이전트를 공개한 건 지난 1주일 동안 이번이 네 번째다. 지난 16일 코덱스를 공개한 오픈AI를 시작으로 19일 마이크로소프트(깃허브 코파일럿), 20일 구글(줄스)이 코딩 특화 에이전트를 선보였다. 기업들의 관심이 AI를 활용한 업무 효율화 및 자동화에 맞춰진 만큼 코딩 특화 에이전트야말로 수요가 높다는 판단에서다.
코딩 에이전트가 일자리를 줄일 것이라는 우려는 현실이 되고 있다. 글로벌 구인·구직 정보 기업 인디드에 따르면 소프트웨어(SW) 개발 분야에서 초급 직위 채용 공고 비중은 2022년 3.2%에서 올해 1.2%로 줄었다. 현지 테크업계 관계자는 “과거 텍스트 생성 중심의 AI 모델과 비교해 코딩에 특화된 AI 에이전트가 일자리에 미칠 영향은 훨씬 더 클 것”이라고 말했다.
실리콘밸리=송영찬 특파원 0fu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