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승서 박동원에 한 개 차 승리…삼성 선수로는 2013년 이승엽 이후 첫 우승
이미지 확대
(서울=연합뉴스) 프로야구 홈런 선두 삼성 라이온즈의 외국인 타자 르윈 디아즈가 두 경기 연속 홈런을 쏘아올렸다.
디아즈는 7일 대구 삼성라이온즈파크에서 열린 2025 KBO리그 NC 다이노스와 홈 경기 0-2로 뒤진 1회말 1사 1, 3루 기회에서 NC 선발 신민혁을 상대로 우측 담장을 넘기는 스리런 포를 터뜨렸다. 사진은 이날 세리머니를 하는 삼성 디아즈. 2025.6.7 [삼성 라이온즈 제공. 재배포 및 DB 금지] photo@yna.co.kr
(대전=연합뉴스) 김경윤 기자 = 프로야구 전반기 홈런왕 르윈 디아즈(삼성 라이온즈)가 올스타전 홈런 더비에서 우승했다.
디아즈는 11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2025 신한 SOL뱅크 KBO 올스타전 전야제 컴투스프로야구 홈런 더비 결승에서 8개의 홈런을 날려 박동원(LG 트윈스·7개)을 한 개 차로 꺾고 트로피와 상금 500만원, 갤럭시 S25 울트라를 받았다.
예선에서 비거리 135.7m의 최장거리 홈런을 친 디아즈는 비거리상 상품인 LG 스탠바이미 2까지 거머쥐었다.
준우승한 박동원에겐 트로피와 상금 100만원이 돌아갔다.
홈런 더비는 제한 시간 2분 동안 제한 없이 타격한 뒤 2분 뒤엔 예선 2아웃, 결승 3아웃 내에서 타격하는 방식으로 펼쳐졌다.
디아즈와 박동원, 키움 히어로즈 송성문과 이주형, kt wiz 안현민, NC 다이노스 김형준, 한화 이글스 문현빈 등 총 7명이 경쟁했다.
당초 출전할 예정이었던 SSG 랜더스 최정은 허벅지 뒤 근육(햄스트링) 미세 통증으로 기권했다.
여섯번째로 나선 디아즈는 예선에서 11개를 쳐 1위에 올랐고, 박동원은 9개를 기록해 2위로 결승에 진출했다.
송성문은 7개, 문현빈과 이주형은 6개, 김형준과 안현민은 4개씩 쳤다.
결승에서 먼저 타격에 나선 박동원은 제한 시간 2분 동안 7개의 홈런을 친 뒤 아웃카운트 승부에선 추가 홈런을 날리지 못했다.
이어 타석에 들어선 디아즈는 레이스 초반 좀처럼 홈런을 생산하지 못했다.
선수 출신인 삼성 운영팀 이우일 매니저가 던져주는 공을 제대로 날리지 못했다.
그는 레이스 시작 50여 초 만에 첫 홈런을 쳤다.
감을 잡은 디아즈는 무섭게 홈런을 생산해내기 시작했다.
이후 3번의 스윙으로 3개의 홈런을 쏟아냈다.
50여 초를 남기고 타임아웃을 요청한 디아즈는 음료를 마시고 호흡을 가다듬었고, 이후 추가 홈런을 기록하지 못했다.
제한 시간 동안 4개의 홈런을 친 디아즈는 아웃카운트 3번의 기회에서 3개 이상의 홈런을 쳐야 했다.
디아즈의 집중력은 무서웠다.
첫 스윙으로 홈런을 때렸고, 두 번째 스윙, 세 번째 스윙으로 모두 홈런 타구를 만들었다.
7-7 동점에서 디아즈는 다소 흔들렸다.
네 번째, 다섯 번째 스윙에서 아웃을 기록해 코너에 몰렸다.
그러나 디아즈는 마지막 스윙으로 타구를 우측 담장 밖으로 날리며 우승을 확정했다.
디아즈는 올해 정규시즌에서도 무서운 기세로 홈런을 날리고 있다.
전반기에만 29개의 홈런을 날려 2위 패트릭 위즈덤(KIA 타이거즈), 오스틴 딘(LG·이상 20개)을 큰 차이로 벌리며 이 부문 1위를 달리고 있다.
올스타전 홈런 더비에서 삼성 선수가 우승한 건 2013년 이승엽 이후 처음이다.
홈런 더비 우승과 최장거리 상을 모두 석권한 건 2023년 채은성(한화) 이후 2년 만이다.
◇ 역대 올스타전 홈런더비 우승
연도 | 우승(당시 소속) | 결승 성적 | 비고 |
1993 | 양준혁(삼성) | 10회 타격/5홈런 | |
1994 | 김기태(쌍방울) | 10회 타격/3홈런 | |
1995 | 마해영(롯데) | 10회 타격/6홈런 | |
1996 | 심재학(LG) | 10회 타격/2홈런 | 최장거리 양준혁 145m |
1997 | 박재홍(현대) | 5아웃/2홈런 | |
1998 | 양준혁(삼성) | 10회 타격/5홈런 | |
1999 | 박재홍(현대) | 11회 타격/4홈런 | 최장거리 박재홍 150m |
2000 | 우즈(두산) | 10아웃/9홈런 | |
2001 | 양준혁(LG) | 7아웃/4홈런 | |
2002 | 브리또(삼성) | 5아웃/2홈런 | 최장거리 우즈 130m |
2003 | 김동주(두산) | 10아웃/5홈런 | |
2004 | 박용택(LG) | 7아웃/4홈런 | |
2005 | 김태균(한화) | 10아웃/5홈런 | |
2006 | 이택근(현대) | 10아웃/1홈런 | |
2007 | 김태균(한화) | 10아웃/9홈런 | |
2008 | 박재홍(SK) | 7아웃/7홈런 | |
2009 | 이대호(롯데) | 10아웃/5홈런 | |
2010 | 김현수(두산) | 7아웃/10홈런 | 최장거리 최희섭 130m |
2011 | 박정권(SK) | 10아웃/7홈런 | 최장거리 박정권 130m |
2012 | 김태균(한화) | 10아웃/6홈런 | 최장거리 김태균 135m |
2013 | 이승엽(삼성) | 10아웃/6홈런 | 최장거리 이승엽 135m |
2014 | 김현수(두산) | 10아웃/14홈런 | 최장거리 김현수 135m |
2015 | 황재균(롯데) | 7아웃/11홈런 | 최장거리 테임즈 150m |
2016 | 히메네스(LG) | 10아웃/5홈런 | 최장거리 나지완 135m |
2017 | 로사리오(한화) | 10아웃/8홈런 | 최장거리 로사리오 140m |
2018 | 이대호(롯데) | 10아웃/4홈런 | 최장거리 호잉 135m |
2019 | 로맥(SK) | 10아웃/7홈런 | 최장거리 샌즈 130m |
2022 | 이대호(롯데) | 10아웃/5홈런 | 최장거리 박병호·나성범 130m |
2023 | 채은성(한화) | 7아웃/5홈런 | 최장거리 채은성ㆍ박동원 130m |
2024 | 오스틴(LG) | 11아웃/5홈런 | 최장거리 로하스 130m |
2025 | 디아즈(삼성) | 제한시간 2분 및 3아웃/8홈런 | 최장거리 디아즈 135.7m |
cycl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25년07월11일 22시34분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