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美 막히자 유럽 시장 공략하는 中, 더 힘겨워진 한국 자동차

22 hours ago 1

입력2025.09.16 17:33 수정2025.09.16 17:33 지면A31

올해 상반기 중국 자동차의 유럽 시장 점유율이 두 배 가까이 상승했다. 반면 현대자동차와 기아의 점유율은 오히려 뒷걸음질 쳤다. 미국 시장 접근이 막힌 중국 기업들이 유럽과 동남아 시장 공략을 강화하면서 우리 자동차 수출을 위협하는 강력한 경쟁자로 떠오른 셈이다. 한국 자동차는 미국 시장에서도 관세 협상 세부 내용을 둘러싼 진통으로 일본보다 10%포인트 높은 25%의 관세율을 여전히 적용받아 크게 불리해진 상황이다.

영국 시장조사업체 자토다이내믹스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유럽 28개국에서 중국차 판매는 35만 대에 달했다. 지난해 상반기 18만대보다 91% 늘어난 수치다. 점유율도 2.7%에서 5.1%로 급상승했다. BYD 등 중국 업체들은 하이브리드 모델을 주력으로 삼아 최대 45.8%인 전기차 고율 관세를 피했다. 같은 기간 현대차·기아는 63만 대를 유럽에서 팔았다. 여전히 중국의 두 배 가까운 판매량이지만 지난해에 비해 4.1% 줄어들었다. 점유율 역시 8.5%로 0.7%포인트 하락했다. 전기차는 선전했지만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시장에서 고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차의 약진이 곧바로 현대차·기아의 실적 악화로 이어졌다고 볼 수 있다. 문제는 중국차의 공세가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중국 자동차업체들은 헝가리·튀르키예 등 유럽 현지 공장 건설에도 잇따라 나서고 있다. 공장 완공 땐 전기차도 고율 관세를 피할 수 있어 한국 차 입장에서는 커다란 위협이 될 수밖에 없다.

지난달 우리 자동차 수출은 8월 기준 역대 최대 규모인 55억달러를 기록했다. 대미 수출이 15% 넘게 줄어든 와중에 거둔 실적이다. 유럽연합(EU) 수출액이 54%, 비EU 유럽 수출액이 73%나 늘어난 게 큰 역할을 했다. 하지만 관세 장벽을 높이 두른 미국 대신 유럽 등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려는 각국의 수출 경쟁은 앞으로 더 거세질 게 분명하다. 그중에서도 한국을 위협하는 최대 경쟁국은 역시 중국이다. 현대차 등도 적극적 시장 개척에 나서야겠지만 정부도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길 바란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