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과 존엄[정덕현의 그 영화 이 대사]〈80〉

5 days ago 2

“살면서 이렇게 가슴 뛰어본 적 있어?”

―양종현 ‘사람과 고기’

돈 있어야 먹을 수 있고 혼자 먹기엔 서러운 음식. 영화 ‘사람과 고기’는 이렇게 고기를 정의한다. 이 기준으로 볼 때 영화 속 형준(박근형 역)과 우식(장용 역) 그리고 화진(예수정 역)에게 고기는 먼 나라 음식이다. 이들은 폐지를 주우며 근근이 살아가거나, 길거리 좌판에서 채소를 팔아 살아가는 독거노인이기 때문이다. 돈이 있고 없고를 떠나 각각 혼자들이다. 그러던 어느 날 폐지 하나로 길거리에서 드잡이를 하게 된 우식과 형준을 화진이 말리면서 관계가 이어진 세 사람은 형준의 집에서 함께 소고기뭇국을 끓여 먹으며 친해진다. 그 고기 맛이 불러온 욕망이었을까. 우식의 주도로 이들은 상습적인 고깃집 무전취식을 시작하는데, 죄책감과 불안감만큼 ‘사는 맛’을 느끼게 된다.

박근형, 장용, 예수정이라는 대배우들이 함께 했다는 것만으로도 예사롭지 않은 공력이 느껴지는 이 작품은 노년의 가난하고 쓸쓸한 삶을 고기라는 소재로 풀어냈다. 분명히 살아 있지만 마치 세상엔 없는 존재들처럼 치부되며 홀로 쓸쓸히 죽어가는 독거노인들이 원하는 건 대단한 게 아니다. 고기 한 점 함께 먹으며 이야기를 나누고 임종을 지켜줄 누군가다. 여전히 자신이 세상 속에 살아 있다는 걸 느끼게 해줄 무언가다. 결국 이들은 덜미를 잡혀 법의 처벌을 받게 되지만, 후회하는 형준과 화진에게 우식이 하는 말이 못내 쓰리다. “살면서 이렇게 가슴 뛰어본 적 있어?”

돈 안 들이고 죽는 법으로 영양실조를 택한 친구의 임종을 지키며 “오늘 안 죽으면 기다려야 하나?”라고 묻는 형준의 농담에 “거기까지는 생각을 못 했네”라며 쓸쓸히 웃는 모습은 우리네 노년의 삶에 과연 존엄이 있는가를 생각하게 한다. 사람이 존엄을 잃으면 한 덩이의 고기와 뭐가 다를까.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