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현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이 체육계 폭력·성폭력에 대해 “2중, 3중으로 일벌백계할 장치가 돼 있다”며 척결 의지를 내비쳤다.
김대현 차관은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 식당에서 기자들과 만나 스포츠계 폭력, 성폭력 문제에 대한 질문을 받고 “굉장히 중점을 두는 분야”라며 “(이런 문제가 불거지면) 다른 성과를 다 까먹는다”고 답했다.
김 차관은 “예전에 제가 문체부 과장을 할 때는 스포츠 비리 센터나 4대악(惡) 신고 센터 정도로 출발했는데, 지금은 스포츠윤리센터로 법인화되고 예산도 크게 늘어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며 “이제 5주년이 됐는데 아직은 걸음마 단계”라고 평했다. 그러면서 “세월이 가면서 스포츠윤리센터의 노하우도 쌓여갈 것이고, 예산 규모나 인력도 계속 충원하고 있다”며 “다만 경기 단체들이 팔이 안으로 굽는 식의 솜방망이 처벌로 끝내는 경우가 많았지만 그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너무 가벼운 징계에 대해서는 다시 징계 심의를 하도록 권한을 부여했다”고 덧붙였다.
김 차관은 “예전에는 한 단계로 끝났던 것을 지금은 2중, 3중으로 보완해서 일벌백계할 수 있는 장치가 돼 있다”며 “지난번에도 폭력, 성폭력 등 심각한 문제에 대해 원스트라이크 아웃을 적용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올해 초까지 불거진 문체부와 대한체육회, 대한축구협회 사이 갈등에 대해선 “가정에서도 큰 집, 작은 집 사이가 안 좋으면 문제가 있기 마련”이라며 “큰 집과 작은 집 사이에 감사하고, 처분 요구를 하고, 소송이 벌어지는 모습을 보여드려 국민들께 죄송하고 대한체육회, 대한축구협회와 대화를 통해 가장 바람직한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문체부는 이날 ‘이재명 정부 체육 정책 방향’ 브리핑을 통해 어디서나 운동하기 쉬운 생활체육 환경 조성으로 국민 생활체육 참여율 65%,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 40%를 2030년까지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주요 내용으로는 유아부터 어르신까지 맞춤형 스포츠활동 지원, 전 국민 스포츠 참여 포인트 제공, 헬스장·필라테스의 ‘먹튀’ 방지 대책 마련, 균등한 스포츠 기회 제공을 위한 국민체육센터 및 국민 체력 인증센터 확충 등을 제시했다.
전문 체육 분야에 대해서는 선수 은퇴 후 재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공제 사업을 추진하며 우수 선수 육성을 위한 성장 단계별 지원, 국민 눈높이에 맞는 공정한 스포츠 거버넌스 구축을 약속했다.
서재원 기자 jwseo@hankyung.com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