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정부시스템 마비]중요 시스템 복구율 58%…정부24·무인민원발급기 정상화

1 month ago 5
지난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에서 배터리 교체 중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로 인한 화재로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의 가동이 중단됐다. 27일 서울지하철 1호선 종각역에 설치된 무인민원발급기에 서비스 일시중단 안내문에 표시되어 있다.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지난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에서 배터리 교체 중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로 인한 화재로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의 가동이 중단됐다. 27일 서울지하철 1호선 종각역에 설치된 무인민원발급기에 서비스 일시중단 안내문에 표시되어 있다.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화재로 중단된 1등급 시스템 36개 중 21개(58%)가 복구됐다.

행정안전부는 30일 오후 1시 기준 중단된 정보시스템 총 647개 중 89개(13.7%)가 복구됐다고 밝혔다. 이 중 정부24, 우편물류 등 중요도가 높은 1등급 시스템 중 절반 이상이 복구되면서 국민 불편이 차츰 해소되고 있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행안부 차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지자체 현장 점검 결과 주민등록, 인감, 여권 등 국민이 자주 활용하는 민원처리는 정부24, 무인민원발급기가 정상화되면서 불편하지만 큰 혼란은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김 제1차장은 “부동산거래나 사회보장정보시스템 일부 기능 장애로 온라인 서비스 장애와 주민센터를 방문해 수기로 처리하는 불편은 존재한다”며 “행안부는 지자체 전담지원반을 구성해 소통 채널을 확보하고 시스템 복구와 대체수단 안내 등 적극 대응하겠다”고 부연했다.

시스템 복구는 화재가 발생한 대전본원 5층 7-1 전산실 96개 시스템을 제외한 551개 시스템 위주로 이뤄지고 있다. 화재 영향이 적은 2~4층 시스템 317개의 재가동이 진행되고 있으며, 화재가 발생한 5층 7·8 전산실 내 시스템 234개의 경우 분진 제거 후 재가동이 이뤄질 전망이다.

화재 피해를 입은 96개 시스템은 대구센터 민관협력형(PPP) 서비스로 이전될 예정이다. 정부는 정보자원 준비에 2주, 시스템 구축에 2주로 시스템 복구를 위한 준비에만 4주가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일부 시스템이 다수 기관과 연계돼 있어 복구 시점이 지연될 수 있다는 게 정부 설명이다.

김 제1차장은 “직접 피해를 입은 96개 시스템도 대구센터 이전과 민간 협력을 통해 복구를 추진 중”이라면서도 “다만 일부 시스템은 다수 기관과 연계돼 있어 복구가 다소 지연될 수 있다”고 말했다.

현대인 기자 modernman@etnews.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