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서울 중구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에서 'AI책임관 협의회' 회의가 열렸다. 위원회 제공국가AI전략위원회가 출범 후 첫 워크숍을 열고 국가 AI 정책 전반을 확인했다.
위원회는 23~24일 이틀간 경기도 고양 소노캄호텔에서 11월 중 발표될 '대한민국 AI 액션플랜'을 점검했다.
AI 액션플랜은 위원회 차원에서 우리나라 '글로벌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범정부 종합 정책이다. 위원회는 각 부처가 담당해야 할 영역과 정책 등을 종합해 배분하는 것은 물론, 중복되지 않도록 조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번 워크숍은 임문영 국가AI전략위원회 상근 부위원장 주재로 진행됐다. 기술혁신·인프라, 산업 AX·생태계, 공공 AX, 데이터, 사회, 글로벌 협력, 과학·인재, 국방·안보 등 8개 분과위원회 위원장은 물론, 민간위원과 분과위원, 각 부처에서 파견된 지원단 소속 공무원을 포함해 약 100명이 참석했다.
분과별로 준비한 AI 액션플랜 총 87개의 초안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심화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이재명 대통령 공약인 'AI 기본사회'를 비롯해 사람 중심의 포용적 AI, 민간이 앞서고 정부가 지원하는 원팀 전략, AI 친화적인 정부와 제도, 지역균형 발전 등 어젠다를 중심으로 플랜을 구체화했다.
위원회는 앞서 각 부처에 전달한 초안에 대한 부처별 의견을 위원들에 공유했다. 부처 의견에 기반해 정책 방향을 조율하고 담당 부처 등 조정도 진행했다.
부처와 워크숍에 참여한 위원들의 의견을 종합해 일부 플랜은 삭제하고 새로운 플랜을 수립하는 등 약 90개의 액션플랜을 구체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데이터, 인프라, 사회, 보안, 인재양성, 글로벌, 공공 등다양한 분야를 망라해 확정된다.
위원회는 이르면 11월 중순 AI 액션플랜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AI 액션플랜 수립을 통해 국가 AI 정책 컨트롤타워로 위상을 공고히 할 것으로 전망된다.
부처 간 경쟁이 심화되지 않게 위원회가 정책 조율·조정·심의·의결하는 것은 물론, 칸막이 없는 정책을 펼칠 수 있도록 중심을 잡는다. 각 부처 AI 정책·사업 간 연계성이 강화되고 정책 집행 효율성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위원회 한 위원은 “워크숍 첫 날 8시간 정도 열띤 토론이 이어졌다”며 “일부 부처의 경우 특정 플랜에 대해 참여할 수 있게 공동 과업으로 요청하는 등 부처 간 정책 경쟁과 견제는 여전했지만, 위원회에서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정책을 분배할 수 있게 논의했고 조율이 이뤄졌다”고 말했다.
박종진 기자 truth@etnews.com

2 weeks ago
9
















![닷컴 버블의 교훈[김학균의 투자레슨]](https://www.edaily.co.kr/profile_edaily_512.pn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