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우주산업' 걸음마…기업에 돈 벌 확신 줘야

5 hours ago 1

韓 '우주산업' 걸음마…기업에 돈 벌 확신 줘야

“누리호만 붙잡고 있을 순 없지요. 민간에 넘길 건 과감히 넘기고 30년, 50년 뒤 미래로 가야 합니다.”

이상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장(사진)이 29일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이 원장은 지난해 우주항공청으로 소속이 이관된 항우연의 초대 원장이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에서 12년간 근무 후 2006년 한국항공대로 옮겨 후학을 양성하다가 올해 1월 항우연 원장으로 부임했다.

이 원장은 아직 한국이 ‘뉴 스페이스’ 근처에도 가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민간 기업이 돈을 벌 수 있다는 확신을 갖고 투자하는 시장이 조성돼야만 뉴 스페이스라고 할 수 있는데 국내 여건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기업이 우주 개발에 더 뛰어들게 하려면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의 조속한 개정이 필요하다고 그는 강조했다.

이 원장은 “우주경제가 발전하기 위해선 민간 업체가 더 많은 지분을 가져가야 하는데 국가연구개발혁신법과 관련 규정이 바뀌지 않은 상태에서는 어렵다”며 “기업이 공공기술 이전을 잘 받을 수 있는 방향으로 법 개정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드론과 무인선박, 무인 잠수정 등에 공통 적용할 수 있는 ‘무인이동체 원천기술 개발 사업’ 성과를 올해 선보이겠다고 했다. 미래 전장에서 활약할 수 있는 기술로 5년 전부터 항우연이 개발 중이다.

올해 11월 4차 발사가 예정돼 있는 누리호 발사와 관련해 이 원장은 “재사용 발사체와 행성 사이를 오가는 스페이스 셔틀 등 ‘명백한 미래 기술’ 개발에 항우연의 에너지를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누리호 후속 모델인 차세대발사체는 재사용이 가능하게 설계해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한 것이다. 이번 누리호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총조립(체계 종합)을 맡았다. 차세대 중형위성 3호와 국내 산학연이 개발한 초소형 위성(큐브샛) 10여 기가 실린다.

이 원장은 올해 4분기엔 지상 물체 0.3m까지 식별하는 광학위성인 아리랑 6호와 레이더위성인 아리랑 7호 발사가 예정돼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국가 안보 목적으로 쓰는 정찰위성이다. 이 원장은 “우주군(軍)의 역할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며 “(안보를 책임지는) 우주 자산을 어떻게 보호할 것인지 더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