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P 임시전표 테이블이 뭐지

4 days ago 2

*쿠팡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SAP에서 임시 전표의 개념

SAP에서 전표는 재무 회계(FI), 자산 회계(AA), 관리 회계(CO) 등 다양한 모듈에서 생성되며, 최종적으로 저장되기 전 "임시" 상태로 처리될 수 있습니다. 

  1. 전표 입력 중 임시 저장 (Parked Document): 사용자가 전표를 완성하지 않고 임시로 저장(Park)하여 나중에 수정하거나 승인 후 전기(Post)하는 경우.

이러한 "임시 전표"는 SAP의 특정 테이블에 저장되며, 아래에서 주요 테이블과 그 역할을 설명합니다.


주요 임시 전표 관련 테이블

SAP FI 모듈에서 임시 전표와 관련된 대표적인 테이블은 다음과 같습니다:

  1. VBKPF (임시 전표 헤더 데이터):
    • 설명: 임시 저장된 전표(Parked Document)의 헤더 정보를 저장합니다.
    • 주요 필드:
      • BUKRS: 회사 코드.
      • BELNR: 전표 번호 (임시 전표 번호).
      • GJAHR: 회계연도.
      • BLART: 전표 유형.
      • BUDAT: 전기일.
    • 용도: 전표가 최종 전기되기 전 임시 상태의 메타데이터를 관리.
  2. VBSEGK (임시 전표 - 공급업체 항목):
    • 설명: 임시 전표의 공급업체(미지급금) 관련 라인 항목을 저장.
    • 주요 필드:
      • BUKRS: 회사 코드.
      • BELNR: 전표 번호.
      • LIFNR: 공급업체 번호.
      • DMBTR: 금액 (현지 통화).
  3. VBSEGS (임시 전표 - G/L 계정 항목):
    • 설명: 임시 전표의 총계정원장(G/L) 항목을 저장.
    • 주요 필드:
      • HKONT: G/L 계정 번호.
      • DMBTR: 금액.
      • KOSTL: 원가 센터 (CO 연계 시).
  4. VBSET (임시 전표 - 세금 데이터):
    • 설명: 임시 전표의 세금 관련 정보를 저장.
    • 주요 필드:
      • MWSKZ: 세금 코드.
      • HWBAS: 과세 기준 금액.
  • 참고: 최종 전기된 전표는 BKPF(헤더)와 BSEG(라인 항목) 테이블에 저장되며, VBKPF와 VBSEG* 테이블은 임시 상태를 위한 별도 구조입니다.

테이블 간 관계

  • VBKPF ↔ VBSEGK/VBSEGS: VBKPF의 BELNR(전표 번호)와 BUKRS(회사 코드)를 통해 VBSEGK(공급업체) 또는 VBSEGS(G/L)와 연결됩니다. 이는 임시 전표의 헤더와 라인 항목 간 관계를 나타냅니다.
  • VBSET 연계: 세금이 포함된 경우, VBSET은 VBKPF와 동일한 전표 번호로 세부 세금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임시 전표의 생성 및 관리

  • 생성 방법:
    • T-code: F-65: 전표 임시 저장(Park Document) 기능 제공.
    • T-code: FBV1: FI 모듈에서 임시 전표 입력.
  • 관리:
    • 임시 전표는 승인 프로세스를 거쳐 전기(FBV0)되거나 삭제될 수 있습니다.
    • 조회는 FBV2(변경) 또는 FBV3(표시)로 가능합니다.
  • 예시:
    • 사용자가 회의 비용 전표를 입력 중 중단 시, F-65로 임시 저장하면 VBKPF에 헤더, VBSEGS에 G/L 계정(예: 53190100 - 회의-커뮤니케이션)이 기록됩니다.

임시 전표 조회 T-code

  1. FBV3 (임시 전표 표시):
    • 설명: 임시 저장된 전표를 조회하는 데 사용됩니다.
    • 사용 방법:
      • FBV3 실행 후, 회사 코드(Company Code), 전표 번호(Document Number), 회계연도(Fiscal Year)를 입력합니다.
      • 입력 후 "Enter"를 누르면 전표의 헤더(VBKPF)와 라인 항목(VBSEG*)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용도: 수정이나 전기 없이 단순 조회 목적.
  2. FBV2 (임시 전표 변경):
    • 설명: 임시 전표를 조회하고 필요 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사용 방법: FBV3와 동일하게 전표 번호 등을 입력 후, 조회된 전표를 편집 가능.
    • 주의: 변경 후 저장 시 임시 상태 유지, 전기는 별도 수행.
  3. FBL1N/FBL3N/FBL5N (공급업체/G/L/고객 라인 항목 조회):
    • 설명: 임시 전표를 포함한 라인 항목을 계정별로 조회.
    • 사용 방법: "임시 전표 포함(Parked Documents)" 옵션을 체크하여 필터링.
    • 용도: 특정 계정(예: 미지급금, G/L 계정) 기준으로 조회 시 유용.

결론

SAP에서 "임시 전표 테이블"은 주로 VBKPF(헤더)와 VBSEG* 시리즈(라인 항목)로 대표되며, 이는 전표가 최종 전기되기 전 임시 저장(Parked Document) 상태를 관리합니다. 예를 들어, 2월에 입력된 전표를 임시 저장했다면 VBKPF에 전표 번호와 전기일이, VBSEGS에 비용 계정(53190100)이 기록됩니다. 이 테이블들은 BKPF/BSEG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나, 임시 데이터 전용으로 사용됩니다.

*쿠팡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