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P CO(관리회계) 결산 프로세스

4 days ago 2

*쿠팡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1. SAP CO 결산을 왜 해야 하는가?

SAP CO(Controlling, 관리회계) 결산은 기업의 내부 의사결정과 경영 성과 분석을 지원하기 위해 수행됩니다. 재무회계(FI)가 외부 이해관계자를 위한 재무제표 작성에 초점을 맞춘다면, 관리회계는 내부 경영진이 비용, 수익, 손익을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CO 결산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제품별 손익 분석: 회사 전체 손익뿐 아니라 개별 제품, 고객, 사업부 등의 세부 단위로 손익을 파악하여 수익성을 극대화하거나 손실을 줄이는 전략을 수립합니다.
  • 비용의 정확한 배부: 간접비 등 공통 비용을 적절한 원가 객체(코스트센터, 내부오더, 제품 등)에 배부하여 실제 원가를 계산합니다.
  • 경영 계획 수립: 실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산 대비 실적 분석을 통해 차기 계획을 수립합니다.
  • 내부 통제 강화: 비용 발생과 흐름을 추적하여 비효율적인 지출을 식별하고 개선합니다.

결산을 통해 기업은 단순히 법적 보고 요건을 충족하는 데 그치지 않고, 경영 성과를 최적화하고 전략적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데이터를 확보하게 됩니다.


2. SAP CO 관리회계의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내용

SAP CO는 관리회계를 위한 모듈로, 비용과 수익을 관리하고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CO는 재무회계(FI)와 통합되어 실시간 데이터 연계를 제공하며,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2.1. 주요 구성 요소

  1. CCA (Cost Center Accounting, 원가중심회계)
    • 조직 내 부서별(코스트센터) 비용을 관리합니다.
    • 간접비를 계획, 집계, 배부하여 제조원가 계산과 손익 분석의 기초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 예: 총무팀의 전력비를 생산부서로 배부.
  2. COPC (Product Cost Controlling, 제품원가관리)
    • 제품별 제조원가를 계산합니다.
    • 표준원가 설정, 실제원가 계산, 원가 차이 분석 등을 수행합니다.
    • 예: 특정 제품의 생산에 투입된 재료비, 노무비, 제조간접비를 집계.
  3. COPA (Profitability Analysis, 수익성분석)
    • 시장 세그먼트(제품, 고객, 지역 등)별 수익성과 손익을 분석합니다.
    • 매출, 직접비, 배부된 간접비를 기반으로 공헌이익을 계산합니다.
    • 예: 특정 고객군의 수익성을 평가.
  4. IO (Internal Order, 내부오더)
    • 프로젝트, 마케팅 캠페인 등 일시적 비용을 관리합니다.
    • 계획 및 실제 비용을 추적하고 정산합니다.

2.2. 핵심 개념

  • 원가요소 (Cost Element): 비용과 수익을 분류하는 계정으로, 1차 원가요소(FI에서 발생)와 2차 원가요소(CO 내부 배부용)로 나뉩니다.
  • 원가 객체 (Cost Object): 비용이 귀속되는 대상(코스트센터, 내부오더, 생산오더 등).
  • 배부 (Allocation): 공통 비용을 원가 객체에 분배하는 프로세스.
  • 정산 (Settlement): 원가 객체에 집계된 비용을 최종 대상(제품, 자산 등)으로 이동.

CO의 핵심은 비용과 수익의 흐름을 추적하고, 이를 원가 객체에 정확히 귀속시켜 경영진이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습니다.


3. SAP CO 결산 프로세스

아래는 CO 결산의 기본 프로세스를 단계별로 설명한 내용입니다. 배부적수, 사이클 생성, 세그먼트 설정 등을 포함합니다.

3.1. 배부적수 (Allocation Base)

배부적수는 비용을 배부할 때 기준이 되는 지표입니다.

  • 종류: 인원수, 매출액, 업무투입율, 면적 등.
  • 역할: 센더(Sender, 비용 발생처)에서 리시버(Receiver, 비용 수령처)로 비용을 배부하는 비율을 결정합니다.
  • 예시: 총무팀 전력비 1,000만 원을 인원수 기준으로 배부한다면, 생산부서(50명)와 영업부서(30명)에 각각 625만 원, 375만 원 배부.
  • 설정: 통계주요지표(Statistical Key Figure, SKF)로 정의되며, 티코드 KK01에서 생성합니다.

3.2. 사이클 생성 (Cycle Creation)

배부 사이클은 비용 배부를 자동화하는 구조입니다.

  • 정의: 센더, 리시버, 배부 기준을 정의한 반복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
  • 회사마다 다른 이유:
    • 조직 구조, 비용 배부 정책, 업종 특성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 예: 제조업은 생산량 기준, 서비스업은 인원수 기준으로 배부할 수 있음.
  • 생성 방법:
    • 티코드 KSV1 (1차 배부) 또는 KSU1 (실제 평가)에서 생성.
    • 사이클 이름, 기간, 배부 규칙 등을 입력.

3.3. 세그먼트 설정 (Segment Setting)

  • 정의: 사이클 하위에 설정된 개별 배부 규칙 단위.
  • 설정 이유:
    • 하나의 사이클로 여러 배부 규칙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
    • 예: 전력비는 인원수로, 임대료는 면적으로 배부하려면 별도 세그먼트 필요.
  • 구성: 센더(코스트센터, 원가요소), 리시버, 배부적수로 구성.
  • 설정: 사이클 생성 시 세그먼트 탭에서 입력.

3.4. 배부구조 설정 (Allocation Structure)

  • 정의: 배부 시 사용할 원가요소와 그 처리 방식을 정의한 구조.
  • 내용:
    • 원가요소 범주(1차, 2차)에 따라 배부 대상과 방법을 지정.
    • 예: 인건비(1차 원가요소)는 코스트센터로, 내부 배부비(2차 원가요소)는 제품으로 이동.
  • 설정: 티코드 OKOA에서 정의.

3.5. 배부 (Allocation)

  • 1차 실제정산 (KSV5):
    • 코스트센터 간 비용을 1차 원가요소로 배부.
    • 예: 총무팀 비용을 생산팀으로 이동.
    • 실행: KSV5에서 사이클 선택 후 실행.
  • 실제평가 (KSU5):
    • 2차 원가요소를 사용해 코스트센터에서 다른 객체(제품, COPA 등)로 배부.
    • 예: 생산부서 비용을 제품으로 이동.
    • 실행: KSU5에서 사이클 실행.

3.6. 정산전표 생성 (CJ1G, CJ8G)

  • 정의: 내부오더나 프로젝트의 비용을 최종 대상으로 정산.
  • 티코드:
    • CJ1G: 단일 정산.
    • CJ8G: 집단 정산(여러 오더 동시 처리).
  • 결과: 비용이 자산, 제품, 코스트센터 등으로 이동하며 전표 생성.

3.7. 정산 결과 확인 리포트

  • 리포트:
    • S_ALR_87013611: 코스트센터 실적 보고서.
    • KOB1: 내부오더 실적 조회.
    • KE24: COPA 실적 데이터 확인.
  • 내용: 배부 및 정산 후 금액, 원가 객체 간 이동 내역 확인.

3.8. 배부 중간 확인 리포트

  • 리포트:
    • KSB1: 코스트센터별 비용 상세 내역.
    • S_ALR_87013620: 배부 전후 비교 보고서.
  • 용도: 배부 결과의 정확성 점검.

3.9. 역분개 후 재진행 확인

  • 역분개:
    • 티코드 KB11N 또는 전표 취소(FB08)로 이전 배부/정산 취소.
    • 배부 사이클 재실행(KSV5, KSU5) 후 결과 확인.
  • 확인 방법:
    • KSB1 또는 S_ALR_87013611로 금액 변동 확인.
    • 전표 조회(FB03)로 역분개 및 재배부 전표 점검.

4. 티코드와 관련 테이블 정보

4.1. 주요 티코드

  • KK01: 통계주요지표 생성.
  • KSV1/KSU1: 배부 사이클 생성.
  • KSV5: 1차 실제정산 실행.
  • KSU5: 실제평가 실행.
  • CJ1G/CJ8G: 정산 실행.
  • KSB1: 코스트센터 비용 조회.
  • S_ALR_87013611: 코스트센터 보고서.
  • KE24: COPA 실적 조회.
  • FB03: 전표 조회.
  • KB11N: 수동 역분개.

4.2. 관련 테이블

  • CSKS: 코스트센터 마스터 데이터.
  • CSKA: 원가요소 마스터 데이터.
  • COEP: CO 실적 전표 라인 항목.
  • COSP: CO 계획/실적 합계(1차 원가요소).
  • COSS: CO 계획/실적 합계(2차 원가요소).
  • TKA01: 관리회계 영역 설정.
  • CEPC: 손익센터 마스터 데이터.
  • KEKO: 제품원가 계산 헤더.

*쿠팡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