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최대 통신사' 만났다…'35조 시장' 노리는 SK텔레콤

6 hours ago 1

왼쪽부터 유영상 SKT 최고경영자(CEO)와 마에다 요시아키 NTT 도코모 CEO가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유영상 SK텔레콤 CEO 링크드인 계정 갈무리

왼쪽부터 유영상 SKT 최고경영자(CEO)와 마에다 요시아키 NTT 도코모 CEO가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유영상 SK텔레콤 CEO 링크드인 계정 갈무리

SK텔레콤이 일본 최대 통신사인 NTT 그룹과 함께 사이버보안과 인공지능(AI) 협업을 논의했다. SK텔레콤은 최근 '제2의 라인'으로 주목받고 있는 일정 공유 플랫폼 기업 타임트리에 자사의 AI 에이전트 기술을 적용하는 등 일본으로 AI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다.

유영상 SK텔레콤 최고경영자(CEO)는 9일 비즈니스 소셜미디어 링크드인에 지난주 일본 도쿄에서 NTT와 NTT 도코모를 만나 사이버보안, 데이터·AI 협업 발전에 대해 논했다고 언급했다. 유 CEO는 "실질적인 대화를 나눴다"고 강조했다.

다만 양사 간 별도 업무협약(MOU)은 이뤄지지 않았다. AI 협업과 관련한 단순 비즈니스 미팅 차원인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SK텔레콤은 도쿄에서 'K-AI 얼라이언스 글로벌 밋업'을 개최하고 타임트리에 22억엔(약 206억원) 투자를 결정짓는 등 서비스 개발 협력을 발표했다.

SK텔레콤이 일본 시장에 집중하는 이유는 '성장성' 때문이다. 유 CEO는 시장조사기관 디멘션마켓리서치를 인용해 일본의 생성형 AI 시장은 지난해 13억5000만달러(약 1조8021억원)에서 2033년 258억달러(약 35조7640억원)로 연평균 38.8% 성장이 예상된다고 언급했다. 유 CEO는 생성형 AI 시장의 고속 성장이 통신뿐만 아니라 헬스케어, 금융 분야를 혁신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유 CEO는 "제게 일본은 항상 단순한 시장 이상의 의미가 있었다"며 "임원 경력 초기에 수년간 일본 시장을 연구하고 도시바 메모리(현 키옥시아)와 같은 파트너들과 함께 일했다"고 말했다. 이어 유 CEO는 "AI 시대의 최전선에 서 있는 지금, 이는 단지 시작에 불과하다"며 "앞으로의 흥미로운 기회뿐만 아니라 한일 관계 강화에 기대감을 안고 도쿄를 떠났다"고 설명했다.

박수빈 한경닷컴 기자 waterbean@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