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무단 소액결제' 지난달 초부터 발생…KT 대응 도마 위에

5 hours ago 1

지난 15일 서울 시내 KT플라자에 매장 내방 고객 대상 금융사기 피해보상 보험 무료 제공 프로모션 안내문이 놓여 있다. 경찰에 따르면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확산된 KT소액결제 피해 금액은 1억2600여 만원으로 추산된다. 사진=뉴스1

지난 15일 서울 시내 KT플라자에 매장 내방 고객 대상 금융사기 피해보상 보험 무료 제공 프로모션 안내문이 놓여 있다. 경찰에 따르면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확산된 KT소액결제 피해 금액은 1억2600여 만원으로 추산된다. 사진=뉴스1

KT 무단 소액결제 사고가 최소 지난달 초부터 일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 통보가 이뤄진 이달 1일에도 109건의 무단 소액결제가 일어나 KT가 적극 대응하지 못한 것 아니냐는 책임론이 제기된다. 이에 대해 KT는 경찰 통보를 받은 후 구체적 피해 명단 확인과 원인을 파악하는 데 시간이 걸렸다고 설명했다.

17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황정아 의원실이 KT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5일부터 이달 3일까지 피해 고객 278명의 결제 건수는 총 527건이다. 총 16일간에 걸쳐 피해가 발생했다.

최초 피해 발생일인 지난달 5일은 언론보도로 처음 알려지기 시작한 시점(이달 4일)보다 약 한 달 앞선 시점이다.

황 의원은 "8월5일부터 이상 신호가 있었는데 KT의 축소·은폐 시도로 피해가 막대해졌다"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즉각적 전수조사를 통해 피해 상황을 국민들께 소상히 보고하고 축소·은폐 행위를 발본색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초 사고 발생일부터 한 자릿수에 머물던 무단 소액결제 건수는 지난달 21일과 26일에 각각 33건, 27일에는 106건으로 급증했다. 이후 무단 소액결제 건수는 두 자릿수를 유지해 증가세를 보였다.

KT는 이달 1일 수사기관으로부터 소액결제 피해 분석을 요청받았으나 당시 일반적인 스미싱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해 즉각 대응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황정아 의원실은 지난달 21일을 기점으로 피해 규모가 확대된 것은 해커들이 '예행연습'을 거쳤기 때문이라고 추정했다. 동시에 지난 2일과 3일 피해 건수가 109건에 달해 KT가 즉각 대응했다면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고 지적했다.

KT는 이상 결제 패턴을 확인한 후 고객 보호와 피해 최소화를 위해 지난 5일 새벽 비정상 결제를 차단했다. 이후 피해 발생은 없는 것으로 알려쟜다.

KT 관계자는 "지난 1일 수사 문의를 받은 후 구체적인 피해 명단 확인과 원인 파악에 최소한의 시간이 필요했다. 사전에 확인하고 조치하지 못한 점은 송구하다"며 "고객의 소리(VOC) 분석 등을 통해 불법 초소형 기지국 ID를 추적하고 발견하는 등 사건 규명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추가 확인되는 상황을 신속하고 투명하게 밝히겠다"고 말했다.

박수빈 한경닷컴 기자 waterbean@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