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에는 한국 경제의 향방을 좌우할 한·미 무역협상 결과에 모든 이목이 쏠릴 전망이다. 미국 관세전쟁 여파가 계속되는 가운데 국제통화기금(IMF)이 수정한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공개한다. 실물경제 흐름을 보여주는 통계청 산업활동동향도 주목된다.
통계청은 29일 2024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공개한다. 총인구와 연령별 인구 등 저출생·고령화 상황을 짚어볼 수 있다.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에서 65세 이상 내국인 고령 인구는 950만 명이었다. 외국인을 포함하면 총 961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8.6%를 차지했다. 반면 유소년 인구(0~14세)는 562만 명에 그쳤다. 유소년 100명당 고령자 수를 의미하는 노령화지수는 171에 달했다.
같은 날 IMF는 ‘7월 세계경제전망’에서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다시 내놓는다. IMF는 지난 4월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2.0%에서 1.0%로 낮춰 잡으며 “미국의 관세 조치 영향과 지난해 말 이후 정치 상황 변화를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초 정부가 31조8000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면서 내수 진작에 나선 점은 플러스 요인이지만, 관세 여파가 지속되고 있다는 점이 큰 부담이다.
통계청은 31일 ‘6월 산업활동동향’을 발표한다. 5월 전산업 생산지수는 112.5(2020년=100)로 전달 대비 1.1% 감소해 넉 달째 ‘마이너스(-)’를 나타냈다. 설비투자는 4.7% 감소해 3월(0.5% 감소) 이후 석 달째 하락 추세였다. 그러나 6월부터는 실물 경기가 조금씩 회복되고 있다는 진단이 많다.
같은 날 기획재정부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첫 국세 수입 현황(6월)을 공개한다. 올 들어 5월까지 세수는 172조3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4.1% 늘었다. 하지만 이 기간 국세 수입 예산 대비 실제 걷힌 세금을 뜻하는 세수진도율은 45.1%로 이전 5년 평균(46.2%)을 밑돌았다.
다음달 1일은 미국이 예고한 상호관세 부과일이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미국을 방문해 30일 혹은 31일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과 만나 막판 협상을 벌일 예정이다. 주요 무역 경쟁국인 일본보다 상호관세(15%), 품목관세(자동차 15%)를 낮추거나 최소한 불리하게 대우받지 않는 게 정부의 목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