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TO로서 내가 코드를 작성하는 이유

2 weeks ago 10

  • 많은 CTO들이 관리 중심으로 전환하지만, 이 글의 저자는 여전히 직접 코드를 작성하며 제품을 개발하는 방식을 유지
  • 그는 실험적 프로젝트, 긴급 고객 요청, 버그 수정 등 세 가지 유형의 개발 작업을 통해 조직 내에서 높은 레버리지를 창출
  • 코딩을 지속함으로써 AI 도구의 실제 효용과 한계를 직접 체감하고, 기술적 의사결정의 현실성을 확보
  • 관리보다는 문제 해결과 제품 구축에 강점과 열정을 두며, 이를 가능하게 하는 조직 구조를 설계
  • AI 도구의 발전으로 CTO의 역할이 확장되었으며, 리더십과 기술적 몰입의 균형이 새로운 형태로 진화하고 있음을 시사

CTO로서 코드를 계속 작성하는 이유

  • 많은 CTO들이 시간이 지나며 코딩을 멈추지만, 저자는 여전히 직접 기능을 개발하고 배포하는 방식을 유지
    • 지난 12개월 동안 직접 보고하는 팀원 없이 여러 주요 기능을 출시
    • 단순한 취미 수준이 아닌, 실제 제품에 반영되는 핵심 기능 개발자 역할 수행
  • 그는 이를 “기술 리더로서 가장 레버리지가 높은 활동 중 하나”로 정의

실제로 구축하는 세 가지 유형의 프로젝트

1. 장기 실험형 프로젝트 (Long-horizon experimental projects)

  • 조직 내에서 새로운 제품을 실질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인력은 매우 제한적
    • 대부분의 조직은 기존 제품 유지와 확장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
    • 창업자, 일부 임원, 고성과 개인 기여자(IC)만이 새로운 제품을 시도할 여유를 가짐
  • 저자는 고객 문제와 시스템 구조를 깊이 이해하고 있어 불확실한 실험 프로젝트를 빠르게 추진할 수 있는 위치에 있음
  • 예시로, 팀이 미뤄왔던 AI 챗 제품을 추수감사절 연휴 동안 직접 프로토타입으로 구현
    • 이후 팀과 함께 프로덕션 수준으로 발전시켜 수백만 달러 규모의 ARR 제품으로 성장

2. 긴급 고객 요청 처리 (Critical customer asks)

  • 주요 고객의 긴급 요청이 계약 체결이나 갱신의 장애 요인이 될 때 직접 대응
    • 빠른 의사결정과 시스템 전반의 이해가 필요한 상황에서 즉각적 해결 능력 발휘
  • 예시로, 연간 100만 달러 규모 고객이 데이터 마스킹 기능을 요구했을 때 하루 만에 작동 가능한 버전을 직접 개발
    • 완벽하지는 않았지만 고객의 즉각적 문제를 해결하고 신뢰 관계 유지에 기여

3. 버그 수정 (Bugfixes)

  • 많은 사람들이 놀라지만, 저자는 버그 수정 작업을 즐겨 수행
    • 이는 코드베이스 전반의 구조를 이해하고 기술 부채를 체감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
  • 예를 들어, 검색 결과 페이지네이션 오류나 WebSocket 연결 문제를 추적하며 시스템 전반을 탐색
    • 이러한 경험을 통해 기술 투자 방향과 우선순위 결정에 필요한 직관을 유지

코딩을 지속하는 이유

1. 실제로 작동하는 기술을 파악하기 위해

  • Claude Code, Codex, Cursor 등 AI 개발 도구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며, 실제 효용과 한계를 직접 검증
    • 예를 들어, 복잡한 통합 기능을 AI로 구현하려다 실패하고, 수작업으로 더 빠르게 해결한 사례 공유
    • 반면 CRUD, 테스트, 보일러플레이트 코드 등에서는 AI가 탁월한 효율을 보임
  • 이러한 경험을 통해 AI의 강점과 약점을 구분하고, 트위터나 업계 유행에 휘둘리지 않는 전략적 판단 가능
  • 직접 코드를 다루면 언제 기술 부채가 심각해지는지, 아키텍처가 과도하게 복잡해지는지를 감지할 수 있음

2. 자신이 잘하고 즐기는 일에 집중하기 위해

  • 그는 조직 설계나 인사 관리보다 기술 문제 해결에 강점을 가짐
    • 성과 평가, 조직 구조 설계 등은 다른 리더들이 더 잘 수행
  • 따라서 뛰어난 엔지니어링 매니저를 채용해 관리 업무를 위임하고, 자신은 제품 구축과 기술적 문제 해결에 집중
  • 스타트업을 “스프린트형 마라톤”으로 비유하며, 장기적으로 열정을 유지할 수 있는 방식으로 역할을 설계

3. AI 도구가 레버리지를 확장시켰기 때문

  • 과거에는 전략적 업무와 코딩을 병행하기 어려웠지만, AI 도구의 발전으로 생산성이 2~3배 향상
    • AI가 판단력을 대체하지는 않지만, 기술적 맥락을 가진 리더의 역량을 증폭
  • 예를 들어, “기존 CSV 내보내기 형식에 사용자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