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요점:
- 유튜브는 저품질 AI 콘텐츠를 규제하려 하면서도 생성 도구를 직접 제공함.
- 반복적·진정성 없는 콘텐츠를 금지하는 새로운 정책 발표.
- AI 콘텐츠 확산 배경에는 구글의 책임도 존재.
- 사용자 자진신고 중심의 규제는 실효성에 한계.
- 구글은 AI 콘텐츠로 수익을 기대하면서도 유튜브는 깨끗하게 유지하려는 모순적 태도.
서론: 유튜브가 직면한 AI 콘텐츠 문제
- 유튜브에 저품질 AI 생성 콘텐츠가 급증하고 있음.
- 구글은 이를 규제하려 하면서도 AI 도구 제공으로 확산에 기여함.
- AI slop(쓰레기 콘텐츠) 확산은 플랫폼 신뢰도에 악영향을 줌.
본론
1. 유튜브의 새 정책 발표
- 2025년 7월 15일부터 유튜브 파트너 프로그램(YPP) 수익 기준 강화.
- ‘대량 제작·반복 콘텐츠’, ‘진정성 없는 콘텐츠’는 수익 창출 제한 또는 계정 퇴출 대상.
- 리액션이나 클립 중심의 창작자는 직접 영향 받지 않음.
2. 기존 정책의 연장선에 있는 조치
- 이전에도 무단 편집·재업로드 콘텐츠는 수익 대상 아님.
- 단지 이번엔 ‘AI 생성물’도 명시적으로 포함되었음.
3. AI 생성 콘텐츠의 실태
- 쇼츠 중심으로 AI 생성 영상이 범람(이미지, 대본, 목소리까지 AI 사용).
- 가짜 가수 명의 음원 업로드, 자동 업로드 시스템으로 하루 수십 건 이상 게시.
- 알고리즘에 걸려 수익을 노리는 방식이 일반화됨.
4. 허위정보·조작 콘텐츠의 문제
- 일부 콘텐츠는 가짜 예고편 등으로 조회수를 노림.
- 유튜브는 AI 생성 콘텐츠에 라벨 부착 정책을 시행 중이나, 자진신고 방식에 의존.
- 악용자들은 라벨을 회피하고 있음.
5. ‘AI 팟캐스트’의 부자연스러운 콘텐츠
- 뉴스 요약을 AI 음성으로 읽고, 가짜 대화 연출.
- 어색하고 진정성 부족.
- 유튜브 정책 위반이지만, 제작엔 구글 제미나이 활용됨.
6. 구글의 AI 영상 생성 툴 공개
- Veo 3: 최대 8초 고화질 AI 영상 생성 기능을 유튜브에 통합 중.
- 유료 서비스로 전환될 가능성 있음.
- 자동 태그 시스템 존재하지만, 영상 재업로드 시 우회 가능성 큼.
결론: 수익과 규제 사이의 모순
- 구글은 AI 도구를 제공해 콘텐츠 생성을 유도하면서,
유튜브에서는 저품질 콘텐츠를 배제하려는 이중적 태도를 보임.
- 시청자 입장에서는 이러한 두 목표가 동시에 충족되기 어려움.
- 결국 유튜브의 신뢰성과 생태계 건강성을 위한 일관된 전략이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