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3강 필승전략]〈하〉전문인력 양성에 교육·자격증 체계도 갖춰야

5 hours ago 1

인공지능(AI) 전문인력 쟁탈전이 본격화하고 있다. 미국·중국 등 AI 선도 국가를 중심으로 자국 인재는 물론, 타국 우수 인재 확보를 위해 고액 연봉으로 영입을 추진하는 상황이다. 최근 메타플랫폼(옛 페이스북)의 AI 인력 11명 채용 과정에서 중국 명문대 출신 7명 발탁이 대표적이다.

우리나라도 유학생 등 해외 경험이 있는 우수 엔지니어를 영입, 국내 AI산업 발전과 AI 3대강국 도약에 일조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아직은 요원한 상황이다. 우수 인력 확보를 위해 빅테크 기업에서 1억달러(약 1365억원) 계약금을 제시하는 것과 같은 처우 보장이 사실상 쉽지 않다.

[AI 3강 필승전략]〈하〉전문인력 양성에 교육·자격증 체계도 갖춰야

해외 인재 초빙보다 국내에서 전문인력을 집중 양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힘을 얻는 이유다. 특히 기술이 산업으로 이어질 수 있는 연결고리를 만들고 AI를 제대로 개발·활용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수요에 기반한 국가 차원 교육과 연구개발(R&D) 시스템을 정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이민석 국민대 소프트웨어학부 교수는 “정부와 기업·대학 간 교육 목적과 수요에 대한 충분한 조율 없이 R&D와 인재 양성이 이뤄지는 측면이 있다”며 “대학 인력이 기업 채용으로 이어지지 않는 현실을 고려, 학생들의 다양성·전공을 살려 산업에 이바지할 교육체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 R&D는 수요 기반 연속성을 보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교수는 “국가 예산 대다수가 단기 성과를 목적으로 한다”며 “정부 R&D 사업 구상단계에서 민간을 참여시켜 실제 현장 수요가 반영된, AI 생태계 발전 로드맵을 수립해 장기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운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AI 기술 고도화와 산업 진흥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뿐만 아니라 AI를 잘 활용할 수 있는 초·중·고등 교육체계 정비와 대국민 AI 리터러시 교육도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 의견이다. 향후 AI를 활용하는 능력에 따라 직업, 빈부, 업무 격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는 이유다.

손해인 업스테이지 교육부문 부사장은 “국내에서는 AI 엔지니어를 양성하는 교육이 중심이지만 AI 모델과 서비스가 상용화되면서 AI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기본기 교육에 대한 고민도 필요한 시점”이라며 “각자 처한 문제 상황을 해결하는 데 AI 등 기술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사고력을 갖추는 교육부터, 초·중·고교 시기에 맞게 AI를 잘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과정도 갖춰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또 최근 6개월 만에 100개 이상 급증한 민간 자격증 제도 정비 필요성이 제기됐다. AI 전문성이 요구되는 시대에 자격증 범람이 기업과 대학생 등 수요·공급자 모두에게 혼선을 가져올 가능성이 크다. 이미 500개 이상 민간 자격증이 생겨난 가운데 국가로부터 공인을 받은 국가공인 자격증은 1종에 불과한 상황이다. 지난해 응시자가 있는 자격증 시험은 36개에 불과하다. 〈본지 7월 1일자 2면 참조〉

업계 한 인사담당자는 “채용 지원자의 자격증을 봐도 자격증이 범람하는 상황에서 정말 전문성이 있는지, 가산점을 줘야 할지 고민이 된다”며 “구직자 입장에서도 점수 하나가 아쉬운 상황에 자격증에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정부가 나서서 정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박종진 기자 truth@etnews.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