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앤알바이오팹, 피부 오가노이드 최대 4주 장기 보관 기술 개발

4 hours ago 1

재생의료전문기업 티앤알바이오팹이 자사 기술로 만든 피부 오가노이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국제 학술지에 발표했다.

티앤알바이오팹은 자사 3D 프린팅 기술로 제작하고 있는 피부오가노이드의 기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차세대 배양배지를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결과는 ‘네이처’ 자매 학술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최근 게재됐다.

배양배지는 세포나 조직을 실험실 환경에서 자라게 하기 위해 영양분과 생리활성 물질을 담은 액체 또는 젤 형태의 성장 환경이다. 티앤알바이오팹은 차세대 배양배지를 활용해 3D 바이오프린팅으로 제작된 3차원 전층 피부유사체(오가노이드)의 배양 기간을 기존 대비 획기적으로 늘려 4주까지 연장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기존 상용 3D 피부모델은 1~2주 배양 후 급격히 무너져 연구나 검사 활용에 제약이 있었다. 회사 연구진은 해조류 기반 저분자량 후코이단의 높은 생리활성 및 흡수 효과를 활용, 피부오가노이드의 구조와 기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배양배지를 개발했다. 연구진은 후코이단의 세포 증식 및 분화 조절, 콜라겐 기질 안정화, 노화 및 산화 억제 기능에 주목했으며, 이를 배양배지에 적용해 고가의 성장인자 없이도 저비용으로 장기간 안정적 배양이 가능한 것을 확인했다.

실험 결과, 해당 배양배지에서 배양된 피부오가노이드는 구조 안정성이 향상됐고 세포 증식은 대조군 대비 20% 높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세포분화는 더디게 증가해 과도한 조기 분화를 방지했으며, 콜라겐 기질도 오래 유지돼 구조 안정성이 높아졌다. 노화 관련 인자는 대조군 대비 최대 5배 낮았고, 세포 사멸 및 손상 유발 인자도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회사 관계자는 “차세대 배양배지는 피부오가노이드의 기능을 오랫동안 유지시켜 약물 평가와 화장품 테스트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오가노이드를 동물실험 대체 모델로 공식 인정한 만큼, 글로벌 시장에서도 활용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티앤알바이오팹은 2015년 이후 3D 피부오가노이드 개발을 이어오고 있으며, 피부 표피 및 진피층은 물론 혈관층까지 구현한 고기능성 인공피부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최근에는 화장품 제조사, 제약사, 화학약품제조 기업 등 다양한 산업군과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

이우상 기자 idol@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