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18일 대한상공회의소 하계포럼 'AI 토크쇼'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이나 제조 분야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선 로봇에 학습시킬 데이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모두의 AI, 우리의 AI’를 주제로 개최된 이번 토크쇼는 정 대표가 진행을 맡고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과 함께 질문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정 대표는 "데이터는 AI 시대의 핵심 경쟁력이자 자원"이라며 “데이터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고, AI 모델이 평범한 사람의 지식 수준을 넘어서고 단순 요약이 아닌 스스로 추론하는 과정이 열리면서 AI 활용할 사업 기회가 많아지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내가 쓰는 AI 모델이 지식데이터를 충분하고 올바르게 학습하고 있는지, 또 AI 모델을 만들 때 학습시킨 데이터 외에 실시간으로 외부 데이터와 연결되면서 더 자연스럽게 사용될 수는 없는지, 또 데이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지에 대해서는 불안감과 궁금증 또한 갖고 있는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정 대표는 "제조업 기반이 부족한 미국 빅테크들은 클라우드를 제공할 테니 한국에 있는 공장들에 불량률, 습도 등 제조 관련 데이터를 제공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다"며 "그만큼 데이터가 중요하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AI 모델의 데이터 학습이 충분하지 못하면 성능이 떨어질 수 밖에 없고, 편향성이 생길 경우 정확성 이슈가 생길 수 있다"고도 말했다.
이날 포럼엔 이예하 뷰노 대표, 김진우 라이너 대표, 예상욱 세탁특공대 대표, 장영재 KAIST 교수 등이 패널로 참여했다. 김진우 대표는 “데이터를 어떻게 축적하고 활용할지 결정하는 것만으로도 AI를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예상욱 대표는 "데이터를 활용해 향후 패션 트렌드 예측과 같은 신규 사업 모델을 발굴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예하 대표는 "지금 AI는 의료 환경에서 '뉴 노멀'이 됐다"고 말했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