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병원 약사 손 대신하는 AI

5 hours ago 1

서울의 한 상급종합병원 약제부. 하루 세 시간씩 분류 작업에 매달리는 약사 네 명의 손끝에서 알약 수백 개가 오간다. 크기·색상·각인이 비슷한 약을 일일이 구분하는 일은 고도의 집중력과 인내심을 요구한다. 이 같은 ‘육안 분류’의 시대가 서서히 저물고 있다. 인공지능(AI) 기반 고정밀 기계가 사람이 전담하던 약제 분류 작업을 빠르게 대체하면서다.

AI 기반 약국 자동화 장비 기업 메디노드는 딥러닝 기반 AI 분석 기술을 적용한 알약 분류기 ‘필봇’을 출시하고, 최근 순천향대 부속 천안병원에 공급했다고 4일 밝혔다. 메디노드는 다수 상급종합병원과 시범 운영 및 추가 납품 협의를 진행 중이다. 조달청 혁신제품 등록을 통해 국공립병원을 중심으로 시범 구매사업도 확대할 계획이다.

그간 알약 분류 작업은 전적으로 사람 손에 의존해왔다. 기계로 자동 인식·분류하기 어려운 알약이 많았기 때문이다. 제형과 색상, 각인 패턴이 제조사마다 미묘하게 달라 표준화가 어렵고, 조명·각도에 따라 인식률이 떨어지는 일이 잦았다. 업계 관계자는 “오분류는 환자 안전과 직결되는 만큼 병원 입장에선 시간과 인력 소모를 감수하더라도 약사의 수작업이 불가피한 영역이었다”고 말했다.

필봇은 고해상도 카메라와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알약의 형태·색상·각인 정보를 실시간 분석해 이를 극복하고 있다. AI를 활용해 1000종 이상의 알약을 99.9% 정확도로 분류하고, 최대 192종을 동시에 처리한다. 전문가들은 AI가 의약 현장의 단순·반복 업무를 대체하는 속도가 빨라지면서 약사의 전문성이 환자 상담, 약물 복용 지도, 임상 참여 등 고부가가치 영역으로 재편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안정훈 기자 ajh6321@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