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석훈 도의원 “경기도, AI 유니콘 키우는 혁신 사령탑 되겠다”

5 hours ago 1

“경기도는 초연결·초융합·초지능 혁신 생태계를 바탕으로 인공지능(AI), 바이오, 반도체 등 첨단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할 것입니다.”
제11대 경기도의회 후반기에 신설된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전석훈 부위원장의 말이다.
경기도는 미래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조직과 정책 전반에서 대대적인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AI국과 국제협력국을 신설하며, AI, 바이오, 반도체 등 첨단산업을 본격적으로 육성하고 정책 공조와 지원을 강화해 왔다. 이런 변화의 중심에 미래과학협력위원회는 첨단기술 분야의 법·제도 정비, 예산 확보, 현장 소통과 실질적 연구를 통해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구체적인 성과 창출에 집중하고 있다.
전 부위원장은 “미래과학협력위원회의 핵심 역할은 경기도가 AI, 바이오, 반도체 등 미래 핵심 산업에서 선두주자가 되도록 정책을 만들고 지원하는 것”이라며 “현장 소통과 연구를 토대로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성과 창출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경기도가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적인 미래 과학 혁신 거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정책 실행과 혁신 생태계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다음은 일문일답.

전석훈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부위원장.전석훈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부위원장.

미래과학협력위원회 부위원장으로서 위원회의 주요 역할과 앞으로의 비전이 있다면.

미래과학협력위원회는 경기도의 미래를 책임질 과학기술과 산업 정책을 만들고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AI, 바이오, 반도체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 경기도가 선두 주자가 될 수 있도록 법규 정비와 예산 확보에 힘쓰고 있다. 앞으로 비전은 경기도를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적인 미래과학 혁신 거점으로 만드는 것이다.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성과를 위해 끊임없이 연구하고 소통하겠다.

‘경기도 인공지능(AI) 기본 조례’는 전국 최초로 제정돼 큰 화제가 됐다. 이 조례를 발의하게 된 계기와 주요 내용을 설명해주신다면.

AI 기술의 빠른 발전에 비해 관련 법규나 제도가 미흡하다는 문제의식이 있었다.

경기도가 선제적으로 AI 산업을 육성하고, 윤리적·사회적 문제에 대비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전국 최초로 조례를 발의했다. 주요 내용은 AI 산업 육성과 지원, 도민 권리 보호와 윤리적 활용 원칙, AI 인력 양성과 연구개발 지원 등이다.

AI 제조혁신 지원, 인공지능원 설립, 스타트업 육성 등 AI 관련 5개 조례가 경기도 산업과 도민에게 미칠 영향은 무엇인가.

AI 제조혁신 지원 조례는 도내 중소기업이 AI 기술을 도입해 생산성을 높이고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인공지능원 설립 조례는 AI 전문 기관을 통해 핵심 기술 개발과 인재 양성의 산실 역할을 한다.

AI 스타트업 육성 조례는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스타트업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 자금, 기술, 인프라 등 전방위적 지원을 제공한다.

이외 조례들도 경기도 AI 산업 발전의 중요한 초석이 될 것으로 보인다. 궁극적으로 경기도 경제 활성화와 도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전석훈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부위원장(왼쪽 아홉 번째)이 김동연 경기지사(왼쪽 여덟 번째)와 지난 2월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경기 스타트업 협의회' 발대식을 갖고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했다.전석훈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부위원장(왼쪽 아홉 번째)이 김동연 경기지사(왼쪽 여덟 번째)와 지난 2월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경기 스타트업 협의회' 발대식을 갖고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했다.

경기도가 대한민국 AI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인프라나 인재 육성 정책에 대해 이야기 해주신다면.

고성능 컴퓨팅 자원, 대규모 데이터셋, 클라우드 시스템 등 첨단 인프라가 필수적이다.

경기도 내 이런 인프라를 충분히 갖추고, 기업과 연구기관들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한다.

또 대학·연구기관·기업이 연계한 실무 중심의 AI 교육, 글로벌 연구기관과의 교류, 재교육 프로그램 확대 등 초격차 인재 육성 정책도 중요하다.

미래산업과 과학기술 발전을 위해 앞으로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싶은 정책이나 프로젝트가 있다면.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싶은 정책은 '경기도형 AI 클러스터' 조성이다. AI 연구기관, 기업, 대학, 스타트업이 집적해 시너지를 내는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고, 정보와 아이디어가 자유롭게 교환되는 환경을 만들고자 한다.

특정 지역에 국한하지 않고, 경기도 내 여러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분산형 클러스터 모델도 고민하고 있다.

성남시를 포함한 각 지역이 균형 있게 미래산업을 분산·발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정책적 지원은.

각 지역의 기존 산업 인프라와 지리적 강점을 분석해 특화 산업을 발굴하고 집중 지원해야 한다. 지역 간 연계 및 협력을 강화해 공동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인프라와 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경기도 전역으로 확대해야 한다. 이를 통해 경기도 전역이 고르게 발전하는 미래를 만들겠다.

전석훈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부위원장(왼쪽 세 번째)이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위원들과 지난해 9월 성남시 경기도자율주행센터를 현장 방문한 뒤 자율주행버스인 '판타G버스'를 시승했다.전석훈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부위원장(왼쪽 세 번째)이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위원들과 지난해 9월 성남시 경기도자율주행센터를 현장 방문한 뒤 자율주행버스인 '판타G버스'를 시승했다.

성남 지역의 스타트업이 글로벌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이나 제도적 개선점이 있다면.

실질적인 글로벌 진출 지원이 가장 필요하다. 해외 시장 정보와 네트워크 제공, 글로벌 스케일업 자금 지원, 현지 전문가 멘토링 및 컨설팅 등 실질적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

또 규제 샌드박스 등 제도적 환경을 개선해 신기술과 서비스가 시장에 빠르게 진출할 수 있도록 하겠다.

성남시가 첨단산업 중심 도시로 지속 성장하기 위해 도의회, 지방정부, 기업 등 협력 방안은.

정기적인 협의체 운영, 정보 공유 플랫폼 구축, 공동 연구개발 프로젝트 추진, 인재 양성 프로그램 공동 기획 및 운영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하겠다.

이런 다각적 협력을 통해 성남시가 첨단산업을 선도하는 지속 가능한 도시로 발전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

경기도가 미래 혁신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 조건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리더로서의 각오는 무엇인가.

경기도가 미래 혁신도시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초연결·초융합·초지능 기반의 혁신 생태계가 필요하다.

글로벌 수준의 인프라, 도전적이고 혁신적인 인재, 유연하고 선제적인 제도와 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

현장에서 도민과 기업의 목소리를 듣고, 필요한 정책을 발굴하며, 관계 기관과 협력을 이끌어내는 실행하는 리더가 되겠다.


경기도가 미래 혁신도시로 도약하는 그날까지 소임을 다하겠다. 앞으로 AI도의원이 될 수 있도록 AI 시대를 선도하는 정책 발굴에 최선을 다하겠다.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성남=김동성 기자 estar@etnews.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