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이 지운 서울의 기억… 25년간 ‘현재’를 기록한 건축가의 눈[김대균의 건축의 미래]

1 week ago 6

수요답사로 보는 서울의 현재
1100여 회 서울 답사 기록 축적… 골목-건축에 스민 삶의 모습 담아
재개발로 사라진 풍경 등 기록… ‘현재의 서울’ 마지막 흔적 남겨
한국의 ‘마당집’ 계보 이으며… 개발과 도시 공존의 길 모색


구가도시건축의 창립 25주년 기념 전시인 ‘fiction non fiction’에 소개된 서울 성북구 장수마을의 모습을 재현한 모형. 구가도시건축 제공

구가도시건축의 창립 25주년 기념 전시인 ‘fiction non fiction’에 소개된 서울 성북구 장수마을의 모습을 재현한 모형. 구가도시건축 제공

김대균 건축가·착착스튜디오 대표

김대균 건축가·착착스튜디오 대표
《‘우리 삶과 가까운 보편적 건축’을 지향해 온 구가도시건축이 창립 25주년을 기념해 건축 전시 ‘fiction non fiction’을 다음 달 11일까지 개최한다. 일상이 투영된 도시의 형상을 25년간 탐색하고 이를 건축으로 구현한 궤적을 보여 주는 이번 전시는 놀라움과 경이로움을 안긴다.》

전시는 총 네 공간으로 구성된다. 먼저 1층에서는 2000년부터 25년간 1100회 이상 서울 골목과 건축에 스며든 생활의 흔적을 조사 및 기록해 온 ‘수요답사’의 여정을 소개한다. 2층에서는 이 답사를 토대로 구현된 구가도시건축의 주요 건축물들을 소개한다. 3층에서는 재개발이 한창인 서울 용산구 한남동 일대를 압도적 크기의 모형으로 재현하고, 2000년대 현대 한옥의 변곡점으로 평가받는 한옥호텔 ‘라궁’ 모형 등을 전시한다. 야외 공간에는 ‘마당집’의 4가지 요소(마루·방·처마 공간·마당)를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파빌리온을 설치했다.

도시의 골목과 집, 그 안에 담긴 삶의 모습을 기록한 ‘수요답사’는 이전 답사의 끝에서 다음을 시작하는 ‘이어 보기’ 방식으로 동네를 스캔하듯 탐색한다. 예를 들어 서울 성곽 동쪽 지역은 3년간 152회의 답사를 통해 조사했다. 답사 과정에서 흥미로운 요소는 UU(urban unit), 특별한 공간은 US(urban space), 독특한 도시조직은 UT(urban tissue)로 표시하고, 실측·촬영·3차원(3D) 스캔 등을 통해 데이터를 축적한 뒤 도면과 모형으로 재구성한다. 조정구 구가도시건축 대표는 “실측이 소리를 채집하는 것이라면, 도면은 악보를 그리는 것과 같다”며 실측과 기록의 관계를 설명한다. 그는 “도시라는 거대한 나무 속으로 들어가 나이테 사이를 누비듯, 서울의 공간과 시간에 누적된 삶의 형상을 발견하고 기록하는 작업이 바로 수요답사”라고 말한다.

수요답사는 과거의 흔적을 찾는 고고학적 접근과 달리 ‘현재’의 서울을 기록하는 답사다. 건축과 골목 같은 외형적 요소뿐 아니라 골목의 화분, 전봇대, 간판, 덧댄 처마, 건물의 사용 방식 등에서 드러나는 시간의 축적과 무형적 삶의 형상 및 의미까지 함께 포착한다. 재개발로 급변하는 현실 속에서 이러한 기록들은 아이러니하게도 ‘현재의 풍경’이 사라진 동네의 마지막 기록이 되기도 한다. “건축사무소를 운영하면서 25년 동안 매주 답사를 이어 오는 것이 힘들지 않느냐”는 질문에 조정구 건축가는 이렇게 답했다. “답사 자체는 전혀 힘들지 않습니다. 다만 조만간 재개발로 철거될 지역을 찾을 때면, 사라져 가는 것들에 대한 안타까움 때문에 마음이 힘들 때가 있죠.”

외국인들은 서울의 가장 큰 매력 중 하나로 과거, 현재, 미래의 시간이 켜켜이 적층된 독특한 도시풍경을 꼽는다. 그러나 정작 우리는 그 아름다움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요즘 성수동이나 익선동, 서촌, 북촌 등은 이미 아파트 재개발보다 ‘지역을 유지하는 것’이 더 높은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곳으로 꼽힌다. 부동산 재개발이 유일한 답이라고 생각하던 시대는 지나가고 있다. 만약 한남동이 재개발 대신 동네의 결을 유지하며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방식을 고민할 수 있었다면, 미래의 서울 풍경과 역사는 지금과 얼마나 달라졌을까. 600년 역사도시 서울을 도시의 흔적 없이 아파트와 남은 몇몇 궁궐만으로 설명해야 한다면, 참으로 공허할 것이다. 을지로, 한남동, 서대문 등 재개발로 사라진 지역은 오랜 시간 삶이 층층이 쌓여 만들어진 도시의 역사 그 자체다. 수백 년간 땅에 새겨진 흔적과 역사를 완전히 지워 버리는 일은 매우 유감스럽다. 그렇기에 기록과 보존, 그리고 이를 사회와 공유하는 담론과 전시 등은 서울의 미래를 위해 시급한 과제다.

야외 공간에 설치된 파빌리온 ‘굳찌’의 모습. ‘마당집’의 4가지 요소(마루·방·처마 공간·마당)를 직접 체험할 수 있다. 구가도시건축 제공

야외 공간에 설치된 파빌리온 ‘굳찌’의 모습. ‘마당집’의 4가지 요소(마루·방·처마 공간·마당)를 직접 체험할 수 있다. 구가도시건축 제공
2층 전시는 ‘수요답사’가 25년간 쌓아 올린 관찰과 기록을 바탕으로 구가도시건축이 구현해 온 건축물에 담긴 의미를 탐색한다. 조정구 건축가는 자신의 건축을 ‘마당집’이라 규정한다. 수요답사를 통해 확인한 한국 주거의 원형이 바로 마당을 중심으로 형성된 집이었다. 그는 그의 건축을 ‘마당집의 계보를 잇는 일’로 받아들였다. 실제로 그의 작업은 일부를 제외하면 대부분이 마당집 혹은 한옥을 닮은 집, 현대건축과 한옥을 접목한 ‘하이브리드 건축’이다. 그는 전통을 활용하는 방식에 대해 두 가지로 설명한다. 첫째는 실체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다. 이는 전통을 오늘의 감각으로 재해석하는 접근이다. 둘째는 그 자체의 ‘실체성’이란 개념이다. 이는 전통이 가진 고유한 본질을 주변 환경에 맞게 그대로 적용하는 방식이다. 그는 실체성에 대해 “어머니라는 실체를 어떻게 해석만으로 대체할 수 있을까”라고 반문하며 삶의 원형을 품은 ‘마당’이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삶과 건축이 가진 실체적 가치와 소중함을 강조했다. 전시 해설을 진행하는 그의 눈빛은 호기심 가득한 소년 같았다. 이번 전시는 도시와 건축 속에 스며 있는 우리의 삶을 누구보다 깊이 사랑한 한 건축가가 지난 25년 동안 차곡차곡 쌓아 온 생활의 역사를 보여 주는 작업이다. 놀랍게도 이번 전시는 공공기관의 지원 없이 온전히 자체 역량으로 완성됐다. 이제는 전시가 던지는 문제의식에 대해 사회적 논의와 응답이 뒤따라야 할 때다.

김대균의 건축의 미래 >

구독

이런 구독물도 추천합니다!

  • 노후, 어디서 살까

    노후, 어디서 살까

  • 이주의 PICK

    이주의 PICK

  • 정덕현의 그 영화 이 대사

    정덕현의 그 영화 이 대사

김대균 건축가·착착스튜디오 대표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