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이뉴스24 이미영 기자] 가수 이미자가 66년 노래해온 전통가요에 대한 깊은 애정을 드러냈다.
이미자는 5일 오후 서울 상암동 스탠포드호텔에서 '이미자 전통가요 헌정 공연 맥(脈)을 이음'(이하 맥을 이음) 개최 기념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가수 이미자가 5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 스탠포드호텔에서 열린 이미자 전통가요 헌정 공연 '맥(脈)을 이음' 기자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정소희 기자]](https://image.inews24.com/v1/756b0464e0b4b6.jpg)
1941년생인 이미자는 열아홉살이던 1959년 '열아홉순정'으로 가요계에 데뷔했으며 이후 '동백 아가씨' '섬마을 선생님' '흑산도 아가씨' '여자의 일생' 등 숱한 히트곡을 내며 전 국민의 사랑을 받아왔다. 이미자가 지금껏 발표한 앨범만 500여장을 넘으며, 한국에서 가장 많은 앨범과 노래를 발표한 가수이기도 하다. 지난 60년간 격변의 세월을 거듭한 대한민국의 현대사 속에서 민족의 시련과 한, 특히 여성들의 애환을 달래주던 '국민 가수'이자, 한국 가요계의 '거목'이다.
이미자는 전통가요를 해온 지난 시간들을 되짚었다. 그는 "'열아홉순정'으로 데뷔했지만 '동백아가씨'가 나옴으로 해서 이미자라는 이름이 널리 알려졌다. '동백아가씨'라는 노래가 33주 간 차트에서 1등을 하고 있었을 때 서구풍의 노래에 밀려 하류, 서민층의 노래라고 했다. 소외감을 느끼고 지냈다"고 떠올렸다.
그는 "독일 위문도 다녀왔는데, 제 노래를 들으며 울고 웃으며 환영해주는 분들을 보면서 긍지감을 느꼈다"고 전통가요에 대한 자부심을 이야기 했다.
이미자는 "전통가요는 우리 공연의 100년사다. 일제 시대에 겪은 설움과 해방의 기쁨을 채 느끼기 전에 6·25를 겪는 고난의 시대였다. 그 때마다 우리 가요의 역할이 컸다. 시대의 변화를 충분히 알려주고, 널리 퍼지게 했다. 그 노래를 갖고 위로하고 위로 받고, 들으면서 애환을 같이 느낀 것이 대중가요라고 생각한다"라며 전통가요의 알맹이를 이야기 했다. 이어 "전통가요는 우리의 시대의 흐름을 대변해주는 노래다. 영원히 잊혀지지 않고 그 시대를 알려주고 위로해줬던 곡들"이라고 강조했다.
'맥(脈)을 이음'은 이미자가 전통가요에 대한 존경과 애정의 마음을 담아 준비한 무대로, 66년 가수 인생을 함께해온 이미자의 명곡들을 생생한 라이브로 다시 만난다. 주현미, 조항조 등 후배 가수들의 특별 콜라보 무대도 펼쳐진다. 이미자의 대표곡 '동백 아가씨'와 '여자의 일생', '섬마을 선생님' 등의 협업 무대를 비롯해 전통가요 듀엣 무대와 세대별 감성 무대는 이번 헌정 공연의 백미가 될 전망이다.
이미자는 "무대를 설 때마다 우리 전통가요의 뿌리를 잊지 않아야 하고, 이어갈 수 있고 사라지 않게 하는 연구를 해왔다"라며 "거의 포기한 상태에서 이런 공연이 마련됐다"라며 "기꺼이 감사한 마음으로, 후배들에게 우리의 맥을 이을 수 있는 공연을 물려줄 수 있다는 행복한 마음에 열심히 준비했다"고 강조했다.
이미자는 "은퇴라는 단어가 좋지 않다고 말하지만, 이제 이 공연을 물려줄 수 있는 사람이 있다. 후배들에게 다시 물려달라는 부탁과 함께 공연을 끝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마지막 공연임을 시사했다.
한편 이미자 전통가요 헌정공연 '맥(脈)을 이음'은 오는 4월 26일과 27일 양일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린다.
/이미영 기자(mycuzmy@joynews24.com)포토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