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T 차트 석권, 온라인 인기 조명…'사자 보이즈' 노래 비슷한 K팝 추천도
"BTS·블랙핑크 프로듀서들 제작 참여…성공 놀라운 일만은 아냐"
이미지 확대
[넷플릭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아람 기자 = K팝을 소재로 한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세계적인 돌풍을 외신도 주목하고 있다.
미 NBC 방송은 10일(현지시간) 보도에서 "한 번도 실제 무대에 오른 적 없는 두 신인 K팝 그룹이 음악 차트를 점령하고 있다"며 '케이팝 데몬 헌터스' 열풍을 조명했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악령들로부터 인간세계를 지키는 인기 걸그룹 헌트릭스를 주인공으로 한 뮤지컬 애니메이션이다. 헌트릭스가 악령 세계에서 탄생한 보이그룹 사자 보이즈와 인기 경쟁을 벌이며 그들의 정체를 밝히는 과정을 그린다.
이른바 '케데헌' 돌풍을 전하며 NBC는 "애니메이터와 영화 제작진이 K팝 업계의 도움을 받아 탄생시킨 가상 그룹 사자 보이즈와 헌트릭스는 이미 글로벌 슈퍼스타가 됐다"고 진단했다.
실제로 '케데헌'은 지난달 20일 공개 이후 넷플릭스 영화 부문 글로벌 1위를 차지하며 뜨거운 반응을 얻었고, 오리지널사운드트랙(OST)은 글로벌 음원 차트 상위권에 올랐다.
사자 보이즈의 '유어 아이돌'은 스포티파이 '데일리 톱 송' 미국 차트에서 1위를 기록했다. '골든', '하우 잇츠 던', '소다 팝' 등 다른 OST도 상위권에 들었다.
영화 팬들은 텀블러 커뮤니티를 팬 아트로 가득 채웠고, 레딧에서는 속편 제작 여부를 둘러싼 추측을 포함해 영화에 대한 활발한 토론이 벌어지고 있다.
틱톡에서도 팬들이 영화 속 안무를 따라 추거나 주요 장면에 대한 반응을 공유하는 영상이 수억 뷰를 기록하며 인기를 끌고 있다.
이미지 확대
[넷플릭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처음부터 K팝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스토리는 아니었다고 한국계 캐나다인 매기 강 감독은 NBC 인터뷰에서 소개했다.
그는 "처음에는 그냥 '악마 사냥꾼' 이야기였는데 한국 문화를 보여줄 수 있는 프로젝트를 찾다가 악마학(demonology)으로 흘러갔고, 악마 콘셉트가 자연스럽게 K팝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아이디어를 처음 구상한 9년 전쯤 방탄소년단(BTS)이 큰 인기를 끌었고, 많은 제작사가 K팝을 소재로 한 아이디어를 어떻게 활용할지 한창 고민했다고 한다.
당시 누구도 뚜렷한 답을 찾지 못했지만, 강 감독은 '악마 사냥'과 K팝을 결합해보니 재미있을 것 같아 이를 뮤지컬 형태 '케이팝 데몬 헌터스'로 발전시켰다.
그는 "작곡 작업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스토리를 진전시키면서 동시에 그 안에 담긴 '팝'의 요소를 잃지 않는 것이었다"며 "노래가 전통적인 뮤지컬 느낌이 되면 작곡가들에게 다시 돌려보내며 '쿨하고 팝스러운 느낌이 사라졌다'고 말하곤 했다"고 회고했다.
NBC는 이 같은 제작 일화를 소개하며 "제작진의 노력은 통했고 노래는 팬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고 전했다.
이미지 확대
[넷플릭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영국 BBC 방송도 최근 "가상 K팝 밴드가 미국 차트에서 BTS와 블랙핑크를 이겼다"며 '케이팝 데몬 헌터스' OST가 음원 차트를 휩쓸고 있다고 보도했다.
BBC는 사자 보이즈의 스포티파이 미국 차트 1위 소식을 전하며 "블랙핑크와 함께 작업해온 테디, BTS와 협업한 린드그렌 등 정상급 프로듀서들이 제작에 참여했기에 앨범의 성공이 놀라운 일만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미 경제 전문지 포브스는 "사자 보이즈를 사랑한다면 플레이리스트에 추가하고 K팝 지식을 확장하라"며 사자 보이즈의 대표곡 '유어 아이돌'과 비슷한 K팝 17곡을 추천하기도 했다.
포브스가 추천한 곡은 ▲ 엔하이픈 '바이트 미' ▲ 엑소 '마마' ▲ 에이티즈 '데자뷔' ▲ 지민 '셋 미 프리 Pt.2' ▲ 태민 '길티' ▲ 방탄소년단(BTS) '블랙 스완' ▲ 최강창민 '데빌' 등이다.
포브스는 "영화의 반전 가득한 스토리 라인에 빠져들고 사운드트랙 곳곳에 담긴 다양한 스타일을 탐색하는 새로운 팬들에게 지금이야말로 K팝 세계에 더 깊이 빠져들 절호의 기회"라고 했다.
ric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25년07월11일 15시41분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