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사지가 말을 듣지 않는다… 경청과 대화 속에 추슬러지는 몸[김영민의 본다는 것은]

2 weeks ago 6

〈108〉 통제 가능하다는 착각

《당신은 젊은가. 그렇다면 수족을 자연스럽게 놀릴 가능성이 높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자연스럽게”다. 너무 자연스러워서 당신은 평소 손발이 몸에 부착돼 있다고 굳이 느낄 필요가 없다. 그것은 그냥 거기 있다. 손발은 그토록 몸의 자연스러운 일부여서, 당신이 하자는 대로 할 것이다. 당신이 자주 쓰는 “손만 까딱하면”이라는 표현에는 손 움직이기가 세상에서 가장 편한 일이라는 생각이 담겨 있다. 손을 뻗고 싶으면 뻗고, 발을 올리고 싶으면 올린다. 여기에 의식적인 결단이나 집요한 노력은 필요 없다. 그저 된다. 당신처럼 젊고 건강한 사람은 체조나 스트레칭도 필요 없을 것 같다. 적어도 당분간은.》

손은 내 자아의 하인인가? 헤드비흐 하우번의 손 일러스트. 김영민 교수 제공

손은 내 자아의 하인인가? 헤드비흐 하우번의 손 일러스트. 김영민 교수 제공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그러한 당신도 사고를 당하거나 나이가 들면 이 모든 것이 바뀐다. 수족을 부자연스럽게 놀릴 가능성이 높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부자연스럽게”다. 부자연스러워진 나머지 당신은 손발을 애써 몸에 부착시킨 것처럼 느낀다. 손발은 더 이상 당신이 하자는 대로 하지 않는다. 손발은 때때로 저리고 다리는 마음대로 펴지지 않는다. 잠시라도 긴장을 풀면 손발과 팔다리가 떨어져 나가 땅바닥에 구를 것 같다. 이제 사지를 과거처럼 편하게 놀리려면 의식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당신 같은 사람도 이제 매일 스트레칭을 해야 한다. 아마도 죽을 때까지.

예술가 헤드비흐 하우번은 아직 젊다. 그런데도 어느 날 손이 어찌해볼 도리가 없을 정도로 경련을 일으켰다. 그것도 집에서 낮잠을 잘 때가 아니라 밖에서 강연을 할 때. 젊은 그에게 이것은 충격이었다. 보통 사람이라면 의사를 찾는 데 그쳤겠지만, 하우번은 생각하기 시작했다. 몸의 각 부분이 자아의 의지에 따르는 수동적 존재가 아니라 나름의 독립성을 가진 능동적 존재라고. 그리고 정제된 언어보다 이런 몸의 반응이 훨씬 더 빨리 온다고. 하우번은 이 체험을 예술작품으로 승화시켰고, 그 결과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전시 ‘길들일 수 없는 손(The Untamable Hand)’으로 열매 맺었다. 이 전시는 올해 본 가장 인상적인 전시 중 하나다.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헤드비흐 하우번의 ‘길들일 수 없는 손’ 전시 전경. 김영민 교수 제공·사진 출처 Bétonsalon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헤드비흐 하우번의 ‘길들일 수 없는 손’ 전시 전경. 김영민 교수 제공·사진 출처 Bétonsalon
전시장 안으로 들어가면 거대한 손 모양의 물체가 놓여 있다. 그리고 그 옆에는 관객이 직접 작동할 수 있는 인조 손들과 그 손들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스크린이 있다. 그 인조 손들은 낭창낭창한 선으로 이어져 있어서 관객 마음대로 제어하기 어렵다. 즉, 이 손은 길들이기 어려운 손이다. 이러한 설치작품을 통해 관객들은 사지를 뜻대로 움직일 수 없는 체험을 하게 된다. 평소에는 오른손과 왼손을 번갈아 잘 썼던 사람도, 이 멋대로 구는 인조 손들을 조화시키기 어렵다. 조종자는 두 손으로 다 잘 쓰고 싶건만, 그 두 손끼리 부딪치지 않게 하는 일도 간단치 않다. 아니, 어느 손이 왼손이고 어느 손이 오른손인지조차 분명치 않다. 그뿐이랴. 그 손가락에 카메라를 설치해 그 카메라의 눈으로 본 모습이 스크린에 비치게 한다. 즉, 손의 관점에서 세상을 보게 하는 것이다.


관람객은 의자에 앉아 거대한 손 모양 물체(위쪽 사진)를 만지기 위해 실리콘으로 만든 인조 손가락을 움직여 보지만 인조 손가락은 뜻대로 길들여지지 않는다. 그 모습을 손의 관점에서 지켜본다. 김영민 교수 제공·사진 출처 Bétonsalon

관람객은 의자에 앉아 거대한 손 모양 물체(위쪽 사진)를 만지기 위해 실리콘으로 만든 인조 손가락을 움직여 보지만 인조 손가락은 뜻대로 길들여지지 않는다. 그 모습을 손의 관점에서 지켜본다. 김영민 교수 제공·사진 출처 Bétonsalon
이러한 설치작품을 통해 하우번이 전하는 메시지는 분명하다. 손은 당신 의도의 종속물이 아니다! 손에게 행위주체성을 허하라! 우리는 손을 뭔가 생산적인 일을 해낼 도구로 간주한다. 손으로 음식을 집어 먹기도 하고, 손을 써 옷을 입기도 하고, 손을 흔들어 의사표시를 하기도 한다. 손은 말 잘 듣는 하인 취급을 받아 왔다. 그러나 이 전시장 안에서 관객은 손이 사실 제멋대로일 수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 제멋대로 움직이는 손은 이제 생산적인 하인이기를 그친다. 손이 그처럼 제멋대로라면, 우리 몸이 통일된 유기체라는 것도 환상인지 모른다.

이러저러한 요소들이 모여서 간신히 균형을 이루고 있는 상태가 바로 몸이다. 내가 내 몸의 통일성을 유지한다는 것도 다 환상인지 모른다. 몸의 어느 부분을 잘 대하지 않으면, 그 부분은 곧 제멋대로 굴기 시작할 것이다. 자아와 손은 더 이상 주인과 하인의 관계가 아니다. 그렇다면 무슨 관계인가. 하우번은 대화하는 관계라고 생각한다. 즉, 우리의 자아와 사지의 관계는 결코 일방적이지 않다. 살아가기 위해서 우리는 우리의 사지와 잘 대화해야 하고, 대화를 위해서는 경청해야 한다. 그러한 경청과 대화 속에서 간신히 몸은 추슬러진다.

그렇게 추스르는 일이 바로 정치다. 질서란 그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추스름을 통해 간신히 확보되는 아슬아슬한 통일 상태다. 일국의 정치가 몸의 정치와 얼마나 다르랴. 몸의 정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때 사지의 말단이 경련을 일으키듯, 일국의 정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때 변경은 제어되지 않는다. 국제정치라고 얼마나 다르랴. 국제정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때 약소국들은 제국의 뜻대로 제어되지 않는다. 약소국은 제국의 단순한 종속물이 아니다. 국제정치에서 대화가 사라질 때, 약소국은 제국이 만든 궤도에서 이탈하기 시작한다. 강제를 버리고 대화를 시작할 때 비로소 성숙한 관계가 시작된다. 대화를 위해서는 상대도 주체임을 인정해야 하고, 주체성을 인정했으면 경청해야 한다. 경청하지 않으면 대화가 불가능하다. 오랫동안 대화가 단절되면, 어느 날 관계의 청구서가 날아온다. 당신이 귀찮다고 스트레칭을 오랫동안 하지 않으면 어느 날 몸의 청구서가 날아오듯이. 근육이, 뼈마디가, 관절이 저마다 비명을 지르기 시작한다.

김영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