펄어비스의 차세대 액션 어드벤처 ‘붉은사막’ 출시가 또다시 연기됐다. 2021년 공개된 후 출시가 1차 연기된 데 이어 다시 내년으로 밀려 당초 계획보다 4년 넘게 늦어졌다. ‘트리플에이(AAA)급 대작’ 기대로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을 모으던 펄어비스가 최근 실적 부진까지 겹치며 절체절명의 시험대에 올랐다는 분석이 나온다.
허진영 펄어비스 대표는 지난 13일 열린 올해 2분기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붉은사막 출시는 기존 공개한 일정보다 한 분기 지연될 것으로 보인다”며 “약속한 올 4분기 출시 일정을 지키지 못해 죄송하다”고 밝혔다. AAA급 PC·콘솔 게임을 출시하는 과정에서 오프라인 유통·인증, 파트너사와의 협업 등에 시간이 더 걸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허 대표는 “의미 있는 성공을 위한 전략적 선택”이라며 “내부적으로 일자를 확정한 만큼 일정 관리를 철저히 해 더 이상 출시가 지연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업계에선 이를 두고 ‘출시 지연이 장기 흥행 가능성을 오히려 갉아먹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붉은사막은 펄어비스의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꼽혀왔다. 그러나 출시 일정이 당초 2022년에서 여러 차례 미뤄졌고, 이번에 또다시 2026년으로 연기됐다.
AAA급 게임은 단순한 기술력 이상의 ‘문화적 리더십’이 요구되는 장르다. 제작비만 수천억원이 투입되는 만큼 글로벌 시장 흐름을 선도하는 기획과 트렌드 감각이 필요하다. 그러나 개발 지연이 반복되면 주도권을 잃을 위험이 크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검은사막 외에 안정적인 수익을 내는 지식재산권(IP)이 없다는 점에서 위기감은 확산하고 있다. 차기작 ‘도깨비’ 역시 구체적인 출시 일정이 공개되지 않았다. 국내외 대형 게임사가 다수의 IP를 분산 출시해 리스크를 줄이는 것과 달리 펄어비스는 단일 프로젝트 의존도가 높아 충격이 더 클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펄어비스는 하반기 ‘게임스컴’ ‘팍스 웨스트’ ‘도쿄게임쇼’ 등 주요 글로벌 게임쇼에서 붉은사막 마케팅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흥행 여부는 출시 시점의 시장 경쟁 환경에 크게 좌우된다”며 “내년 초에는 대형 콘솔·PC 신작이 대거 몰릴 수 있어 지금보다 완성도와 차별화 포인트 확보가 더 절실하다”고 말했다.
안정훈 기자 ajh632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