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과 현재에 집중하기

3 weeks ago 10

  •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압도적으로 늘어나 일상과 여가 대부분을 차지함
  • 스마트폰은 주의 분산과 몰입 방해 요소로 작동하여, 관계 형성과 자기 성찰에 큰 장애물로 작용함
  • 사용 패턴을 의도적으로 제한하고, 추천 미디어나 소셜 미디어 계정을 제거함으로써 긍정적인 사용 습관 개발 가능함
  • YouTube 시청 기록 및 추천 비활성화 등 구체적 방법을 적용하면 무분별한 콘텐츠 소비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음
  • 이러한 변화로 인해 풍부한 오프라인 경험과 몰입을 얻고, 보다 의미 있는 삶으로 전환 가능함

스마트폰 사용 시간의 현실

  • 최근 통계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평균적으로 하루에 4시간 37분이 스마트폰 사용에 소비됨
  • 일부 국가는 이보다 훨씬 높은 수치를 기록하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하루평균 5시간 11분으로 4번째로 많은 사용량을 보임
  • 8시간 수면, 8시간 근무 기준으로, 하루 자유 시간의 절반 이상이 스마트폰 화면 앞에 묶임

스마트폰이 삶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폰은 현재에 집중하는 것을 방해하며, 즉각적인 자극과 다양한 주의 산만함을 유발함
  • 저자는 여러 차례 피처폰(단순폰)으로의 전환을 시도했으나, 실제 생활적 필요로 인해 스마트폰 사용을 지속했음
  • 스마트폰의 다양한 유용한 도구들은 필요하지만, 추천 피드와 알림처럼 사용자의 관심을 붙잡는 기능이 생활을 조각냄

디지털 소비 관리 전략

  • 본인은 의도적으로 알림을 끄고 소셜 미디어 사용을 중단하는 등 디지털 소비 방식을 직접 설계함
  • '가방 속의 쿠키' 비유처럼, 즉각적으로 접근 가능한 유혹이 있으면 사용량 관리가 어려워짐
  • 인간은 지루함을 피하고 늘 새로운 자극을 원하며, 이로 인해 자기 성찰과 창의적인 사고 시간이 줄어듦

실질적 스마트폰 사용 조절 방법

  • 저자의 iPhone Screen Time 기준 하루 30분으로, 주로 금융이나 메시지 등 순수 유틸리티 앱 위주로 소비함
  • 자기 통제력이 특별히 강한 것이 아니라, 디지털 환경 자체를 적극적으로 설계한 것이 주효했음
  • 시중의 시간제한 앱들은 성인 이용자의 실제 사용 습관을 제어하기엔 한계가 존재
    • 사용자가 원하면 언제든 우회 가능함
    • 시간 제한은 근본적 습관/중독을 바꾸지 못함
    • 추천 미디어 서비스 회사들은 압도적 자본과 인력으로 사용자 주의를 사로잡을 전략을 구축함

추천 미디어 제거와 구체적 실천

  • Instagram, TikTok 등 추천 미디어 계정을 완전히 삭제하거나, 전용 디바이스에서만 사용하도록 제한하는 방식을 권장함
  • YouTube의 경우, 시청 기록(Watch History)과 추천 알고리듬 모두 비활성화
    • 유튜브 시청 기록을 꺼두면, 기존 구독 채널 외 추천 콘텐츠가 안내되지 않아, 본인이 원하는 것만 시청하게 됨
    • Google 활동 기록 자동 삭제, AdGuard 등의 광고 차단기를 활용해 Shorts와 추천 콘텐츠도 숨김
    • 구체적 차단 셀렉터도 함께 공유

작은 디지털 소비 습관의 변화 효과

  • RSS 피드 등 선택적으로 적은 양의 정보만 소비하면서, 전화 확인 충동이 점점 줄어듦
  • 커피를 기다릴 때 등 일상적 빈 시간에 스마트폰을 찾는 습관적 욕구가 줄고, 현실에 더욱 집중 가능해짐

결론 및 권유

  • 추천 미디어의 주의력 저하 문제 만큼 전 세계적으로 방대한 시간 낭비가 이루어지는 것이 더 심각한 이슈임
  • 이러한 실천이 지나치게 보일 수 있으나, 본인에게는 몰입과 낙관, 여유로운 오프라인 경험을 가져다줌
  • 더 자연과 취미, 친구와의 교류에 쏟을 시간이 늘어났으며, 다시 작은 화면으로 돌아가고 싶은 생각이 없어짐
  • 누구에게나 한번 시도해 볼 가치가 있는 변화임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