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노조 몽니로 결국 정리 수순 접어든 MG손보

6 hours ago 1

입력2025.05.14 17:30 수정2025.05.14 17:30 지면A31

금융위원회가 어제 MG손해보험의 신규 영업 중단과 가교(架橋)보험사를 통한 정리 방안을 의결했다. MG손보의 기존 보험 계약은 우선 가교보험사에 옮겨지고, 향후 준비기간을 거쳐 삼성 현대 KB DB 메리츠 등 5개 주요 손보사에 다시 나눠서 이전된다. 가교보험사는 MG손보 임직원 520여 명 중 필수 인력만 채용할 예정이어서 대다수는 일자리를 잃을 전망이다. 금융위는 전속설계사 460명에겐 다른 손보사로의 이직을 지원하기로 했다.

MG손보가 정리에 들어가게 된 것은 노조의 몽니 탓으로 볼 수밖에 없다. MG손보는 2022년 부실 금융회사로 지정된 이후 모두 네 차례 공개 매각을 추진했다. 마땅히 인수를 원하는 곳이 나타나지 않자 수의계약으로 바꿨는데 지난해 메리츠화재가 손을 들고 나섰다. 우여곡절 끝에 메리츠화재가 지난해 말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지만, 민주노총 산하 MG손보 노조는 메리츠화재 실사를 석 달이나 막았다. 메리츠화재는 직원 10% 고용 보장 및 250억원의 비고용자 위로금을 최종 제시했지만 노조는 이마저 거부했다.

어제 금융위 결정으로 인수합병(M&A)을 통한 회사 회생도, 직원과 설계사 일부의 고용도, 250억원의 위로금도 모두 수포로 돌아갔다. 그 배경엔 정권이 바뀌면 구조조정을 안 할 금융지주에 회사를 넘길 테니 메리츠화재를 거부하고 내란 공범인 금융당국과 타협해선 안 된다고 부추긴 국회의원들이 있었다고 하니 기가 막힌다. 하지만 정치인들의 무책임한 발언에 편승해 파멸적 투쟁을 벌인 노조의 책임이 더 중하다고 할 수 있다.

대안 없는 막가파식 투쟁은 MG손보 노조만이 아니다. 매각 협상 때는 물론이고, 생산라인을 교체하려고 해도 사업을 재편하려고 해도 파업부터 벌이는 게 한국 노조의 현주소다. 미국 마이크소프트처럼 잘나갈 때조차 효율성 제고를 위해 인력 물갈이를 하는 것은 꿈도 꾸지 못한다. 노조가 회사 생사를 쥐고 흔드는 구조 자체를 바꾸지 않고선 기업이든 근로자든 미래를 기약할 수 없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