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끝으로 중단…8년 만의 재개 관심
이미지 확대
(자카르타=연합뉴스) 홍기원 기자 = 18일 오후(현지시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겔로라 붕 카르노(GBK) 스타디움에서 열린 2018 자카르타ㆍ팔렘방 아시안게임 개막식에서 남북 선수단이 한반도기를 든 남측 여자농구 남북단일팀 주장 임영희, 북측 남자 축구 주경철을 선두로 공동 입장하고 있다. 2018.8.18
(서울=연합뉴스) 이동칠 기자 = 북한이 내년 9월 19일 개막하는 2026년 아이치·나고야 하계 아시안게임에 참가하겠다는 의사를 전달함에 따라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을 끝으로 명맥이 끊긴 남북 선수단의 국제종합대회 공동 행진이 재개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8일 체육계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16일이 제출 마감 시한이었던 수엔트리(종목별 대표선수 숫자)를 아이치·나고야 아시안게임 조직위원회에 제출했다.
북한은 축구 등 17개 종목 선수 150여명을 포함해 총 260∼270명의 선수단을 파견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나라도 41개 전 종목에 1천400여명의 선수단을 파견하겠다는 수엔트리를 조직위에 냈다.
조직위는 오는 22일부터 26일까지 일본 나고야에서 참가국 선수단장 회의를 열어 대회 운영과 관련한 세부 사항을 전달하고 논의할 예정이다.
일본 정부가 탄도 미사일 발사 등에 독자 제재로 북한 국적 보유자의 입국을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지만, 아시안게임은 국제 스포츠 행사여서 북한이 원하면 참가하는 데 큰 장애가 없다.
북한 선수단의 아이치·나고야 아시안게임 참가가 예상됨에 따라 남북 선수단의 개·폐회식 공동입장 기대도 품을 수 있게 됐다.
남북은 2000년 시드니 올림픽을 시작으로 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 2003년 아오모리 동계 아시안게임, 같은 해 대구 유니버시아드, 2004년 아테네 올림픽, 2005년 마카오 동아시안게임, 2006년 토리노 동계올림픽, 같은 해 도하 아시안게임에서 화합의 행진을 벌였다.
2007년 창춘 동계아시안게임까지 이어지던 공동입장은 2008년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뒤 그해 베이징 올림픽부터 중단됐다.
하지만 2017년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이듬해 안방에서 열린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과 같은 해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에서 남북 선수단이 한반도기를 앞세우고 동시 입장했다.
이미지 확대
(평창=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9일 오후 강원도 평창 올림픽스타디움에서 열린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남북 선수단 공동기수인 남측 원윤종, 북측 황충금이 한반도기를 앞세우고 동시 입장하고 있다. 2018.2.9
pdj6635@yna.co.kr
그러나 2020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는 남북이 개회식 공동입장과 4개 종목 단일팀 구성에 합의를 이루고도 북한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 등을 이유로 불참하면서 무산됐다.
이어 윤석열 정부 시절이던 2023년 개최된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과 작년 파리 올림픽 때는 북한이 선수단을 파견했음에도 남북 공동입장은 이뤄지지 않았다.
새 정부 들어 이재명 대통령이 한반도의 긴장 완화와 남북 관계 복원을 최우선 대북정책으로 내걸면서 스포츠가 화해 무드 조성에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를 받고 있다.
이 때문에 북한이 참가 예정인 내년 아시안게임에서 남북이 중단된 선수단 공동입장을 성사할지 더욱 주목받게 됐다.
남북 단일팀 구성이 다시 실현될지도 관심거리다.
남북은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때 여자 아이스하키 종목에서 단일팀을 이뤘고, 같은 해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에서도 여자농구, 카누, 조정 등 3개 종목의 단일팀을 구성해 '코리아'의 이름으로 참가했다.
이미지 확대
[연합뉴스 자료 사진]
그러나 남북 공동입장과 단일팀 구성을 위해선 체육장관급 회담을 포함한 정부 차원의 기본적인 공감대가 형성돼야 가능하다.
대한체육회 관계자는 "남북 화해 분위기가 먼저 조성돼야 실무 차원에서 단일팀 구성이나 그보다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은 공동입장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또 상황에 따라선 아시안게임을 앞두고 가능한 종목에선 남북 합동훈련도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chil8811@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25년09월18일 11시48분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