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인들의 주요 사망 원인과 언론에서 다루는 주제 간의 뚜렷한 불일치 발생
-
심장병, 암 등 흔한 건강 문제가 실제 사망의 대부분이지만, 언론에서는 극적인 사건 위주로 보도됨
-
살인, 테러 등 드문 사건이 뉴스에서 과도하게 강조되어 실제 영향력보다 훨씬 크게 인식됨
- 미디어의 이러한 편향이 대중 인식에 영향을 미치며, 특정 위험에 대한 과잉 우려로 이어짐
- 이로 인해, 사람들이 현실의 건강 문제와 사회 변화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저해함
미국 내 사망 원인과 언론 보도의 불일치
연구 배경 및 목적
-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 국민 대다수가 “세상에서 일어나는 일”을 알기 위해 뉴스를 따른다는 결과 분석임
- 거의 모든 사람이 뉴스가 현실을 제대로 보여준다고 기대 및 신뢰하는 경향이 있음
- 대표적 언론사(뉴욕타임스, 워싱턴포스트, Fox News)도 이를 임무로 내세움
주된 발견
- 현실에서는 심장병, 암, 뇌졸중, 호흡기 질환 등이 대부분의 사망 원인을 차지하지만, 이러한 만성적이고 흔한 문제는 뉴스에서 매우 적게 다루어짐
- 반면에, 살인, 테러, 약물 과다복용 등 드물지만 극적인 사건이 뉴스 기사 비중의 절반 이상을 차지함
- 예시로, 심장병과 암은 전체 사망 원인 56%인 반면, 언론 기사에서는 7%만 차지함
-
테러리즘과 살인은 각각 실제 사망률보다 18,000배, 43배 이상 더 보도됨
미디어의 드라마틱한 리스크 편향 이유
- 일반적이거나 반복적인 사건(예: 심장병 사망)은 뉴스로서 “새롭지 않음”이 인식임
-
드물고, 이야깃거리가 많은 사건(살인, 테러, 사고 등)은 개인의 이름과 스토리를 할당하기 용이해 감정 이입과 클릭 유발에서 우위를 가짐
- 대중의 관심도와 감정적 반응에 따라 언론이 따라가며, 이는 뉴스-소비자 피드백 루프로 고착됨
- 사회적 트렌드와 상업적 필요 때문에 현실보다 드라마틱한 사건에 과도한 관심이 집중됨
이러한 편향이 미치는 영향
- 뉴스 보도의 빈도는 실제 사건의 발생 빈도와 직접 연관이 없음
- 지역 범죄 뉴스를 자주 접할수록 해당 문제에 대한 개인적 불안과 우려가 증가함
- 테러리즘과 같이 드문 사건은 실제 위험성과는 다르게 미국 사회에서 크게 위협적으로 인식되고 있음
- 결과적으로, 범죄율이나 건강 문제의 실제 추이 변화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왜곡됨
인식 차이가 실질적으로 중요한 이유
- 주요 건강 사망 원인(심장병, 암, 등) 관련 치료법 개발·개선, 사망률 감소 소식이 알려지지 않으면서, 사회적 진전이 충분히 공유되지 못함
- 미국 내 어린이 암 사망률, 성인 심장 질환·암 사망률 모두 수십 년간 대폭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대중의 인식이 미치는 영향력이 큼
- 대중의 오해와 관심 편차는 자원 배분과 정책 결정에도 영향을 끼침
- 궁극적으로, 언론사의 정보 선택이 현실과 우리의 인식 사이 촘촘한 간극을 만듦
연구 방법 개요
- 2023년 미국 CDC의 사망 원인 통계를 바탕으로 12대 주요 원인과 함께 살인, 약물 과다복용, 테러 포함 총 15가지로 분석 실시
- 뉴욕타임스, 워싱턴포스트, Fox News 3개 언론사의 보도 기사에서 각 사망 원인 언급 빈도를 측정함
-
Media Cloud와 같은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플랫폼을 활용하고, 동의어나 필요 키워드 포함 검색 진행
- 관련 원인에 대한 일회성 언급이 아닌, 복수 언급된 기사만 집계하여 집중 보도 여부를 중점 분석
- 결과적으로 서로 다른 정치적 성향의 언론사들 간 보도 주제의 선택 자체는 크게 다르지 않음
결론
- 뉴욕타임스, 워싱턴포스트, Fox News 등 주요 매체의 보도가 실제 사망 원인과 크게 불일치하는 현상 재확인
- 이는 단순 언론사 책임만은 아니며, 대중의 감정적 요구, 상업적 동기, 스토리텔링성 모두 맞물려 있음
- 사회 전반의 정보 습득 경로 및 빈도가 변화하면서, 사회적 우려와 실제 현실 사이의 괴리가 더욱 커짐
- 올바른 현실 인식과 건강한 사회적 토론을 위해 미디어 소비자 역시 이 ‘보도 편향’을 인지해야 함